대통령 과학장학금, 지방대엔 '그림의 떡'

김춘진 의원 국감자료…누적 금액 서울대·카이스트·포항공대 94% 차지

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우수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대통령 과학장학금'이 지방대 학생들에게는 '그림의 떡'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년간 이 장학금을 지원받은 지방대(지방소재 과학기술대 제외)는 경북대·전북대·충남대·부산대 등 4개에 불과했으며 그나마 경북대를 제외한 3개 지방대는 지난해 처음으로 장학금을 지원받았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춘진 의원(고창·부안, 민주당)이 22일 한국장학재단이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2005~2010년 대통령 과학장학금 집행실적'을 분석한 결과 누적 지원금액은 서울대가 112억5800만원으로 전체의 44%를 차지했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90억원(35%), 포항공대 37억8400만원(15%) 등 상위 3개 대학이 전체 장학금의 94%를 차지했다.

 

지방대 가운데는 경북대가 지난 2008년부터 3년간 2700만원을 지원받았으며 전북대·충남대·부산대는 지난해 처음으로 각각 1500만원·500만원·400만원씩을 지원받았다.

 

최근 3년(2008~2010년) 동안 국내 장학금 수여 상위 10개 대학중에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 이른바 'SKY'대학만 수여액이 늘고 나머지는 모두 대폭 줄었다.

 

서울대 학생에게 수여된 대통령 과학장학금은 2008년 21억9000여만원에서 2010년 24억4000여만원으로 11.1% 늘었고, 연세대는 같은 기간 9000여만원에서 1억2000만원으로, 고려대는 500만원에서 3200만원으로 수여액이 늘었다.

 

반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장학금 수여액이 16억9000여만원에서 9억6000여만원으로, 포항공대는 6억8000여만원에서 2억8000여만원으로 거의 반토막이 났고 나머지 대학도 상황이 비슷했다.

 

김 의원은 "특정 대학에만 대통령 과학장학금 지원이 몰리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소위 명문대 소속이 아니더라도 재능과 의지, 노력만 있다면 장학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