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 구조조정 결과 40여개 저축은행이 '우량회사'로 파악됐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경영진단을 받은 85개 저축은행의 경영지표를 분석,이 같은 결론을 내린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감독당국에 따르면 우량한 곳으로 볼 수 있는 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0%를 넘는 곳으로, 40여곳이 해당된다.
특히 스타(36.00%), 대원(31.20%), 한신(23.99%), 부림(22.74%), 오성(21.74%)등 몇몇 저축은행은 BIS 비율이 20%를 웃돈다.
BIS 비율이 감독기준인 5%를 넘었지만 10%에 미치지 못하는 저축은행은 약 30개다.
이들 저축은행은 현재로선 안전하지만 자본확충 등 경영개선 노력도 요구된다.
이날까지 발표된 61개 저축은행 공시에 따르면 대형 계열은 한국(6.06%), 현대스위스(6.15%), 진흥(9.11%), 현대스위스2(9.16%), 솔로몬(9.20%), 현대스위스3(9.57%) 등 대부분 저축은행의 BIS 비율은 5~10%에 머물렀다.
골든브릿지(5.57%), 더블유(5.89%), 세종(7.58%), 스마트(8.32%), 늘푸른(8.68%), 엠에스(9.07%), 인천(9.17%), 모아(9.24%), HK(9.26%), 참(9.37%), 금화(9.59%),강원(9.83%), 구미(9.87%) 등도 BIS 비율이 5∼10% 사이다.
이 가운데 24개 저축은행은 공적자금에 해당하는 금융안정기금을 신청할 수 있다.
금융안정기금은 BIS 비율이 5∼10%인 저축은행의 자본 확충을 위해 지원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적기시정조치(부실우려 금융회사의 정상화 조치)가 유예된 저축은행은 경영개선계획을 이행할 때까지 금융안정기금도 지원받지 못한다"고 밝혔다. 다만 BIS 비율이 5%에 못 미치거나 부채가 자산을 초과해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6개 저축은행도 대부분 증자 등 자구노력을 통해 건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저축은행 가운데 상장사와 후순위채 발행사 등은 이날까지 공시를 마쳐야하며, 나머지 저축은행은 오는 30일까지 실적을 공시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달 말 공시를 두고 일각에서 우려한 것과 달리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무난하게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며 "회계법인이 새로 수익금을 찾아낸 일부 저축은행은 경영진단 때보다 BIS 비율이 다소 상승했다"고 말했다.
대다수 저축은행이 BIS 비율은 5%를 넘겨 결산기일을 '무사통과'했지만 대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쌓인 탓에 부실자산이 대폭증가, 조속한 부실 정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됐다.
한국저축은행의 경우 고정이하여신비율(부실대출비율)이 7.33%에서 19.02%로 갑절 넘게 급등했고, 현대스위스저축은행과 솔로몬저축은행도 부실대출비율이 7.89%와 7.88%에서 17.20%와 12.30%로 많이 올랐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강도높은 경영진단으로 상당수 자산이 부실로 평가됐다"며 앞으로 경영의 1순위를 부실자산 정리에 두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신민 등 자본잠식 상태로 나타난 저축은행은 모기업(웅진, 삼환)의 증자가 이뤄져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예쓰, 예나래 등 예금보험공사가 인수한 가교저축은행 역시 BIS 비율에 영향받지 않고 정상 영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