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일단락될 것 같았던 진안폐기물매립장과 관련한 환경오염 논란은 또 다른 쟁점의 불씨를 남기게 됐다.
전주지방환경청은 지난해 주민연대가 제기하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때 민노당 홍의덕 의원이 환경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함에 따라 이달까지 진안폐기물매립장에 대한 환경조사를 벌였으며, 이달 16일 '매립장 주변에서 침출수로 의심되는 누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날 주민연대 측은 본보 취재진을 찾아와 "이번 조사결과에 많은 의문이 있다"면서 이의를 제기했다.
주민연대 측에 따르면 전주지방환경청의 결과물은 당초 주민연대에서 제기한 9가지 중 비위생매립장과 우수관에 관련한 3개 항목에만 그쳤다는 것.
'모든 항목을 조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전주지방환경청은 "자세하게 조사하기는 힘든 여건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민연대 측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 전주지방환경청이 통보한 내용 가운데 국회 보고용과 주민연대 통보용이 일부 다르다고 지적했다.
조사보고서 1면의 위생매립지 시설현황 매립량 단락에서 매입률(약 62%)과 '10년이상 매립가능'이란 문구가 주민연대에 통보된 내용에는 빠진 반면 국회보고용에는 명시돼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현재 국정감사중인 전주지방환경청을 대신해 진안군은 "이미 주민연대에서 아는 사실 일부러 넣을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주민연대 측은 "9가지 항목 중 극히 일부만 단독 조사하고, 과학적인 근거도 없이 일방적으로 공식 발표해 스스로 전주지방환경청 신뢰도에 불신을 받는 결과를 초래했다"면서 "이번 결과를 믿지 못하는 만큼 조목조목 따져 물을 생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