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많은 예산을 들여 위탁교육을 실시할 이유가 있었는지 의구심을 낳고 있다. 분명 예산의 효율적 운영에 일부 문제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7일 농기센터에 따르면 군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유기농밸리조성 사업과 관련, 진안읍 반월리 등 9개의 예비마을을 선정해 지난 6월부터 오는 12월까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농산어촌홍보개발원에 위탁돼 열리는 이 교육에 소요되는 예산만 7000만원. 연계된 해외연수비용(7800만원)까지 합치면 1억4800만원에 달한다.
총 교육시간이 88시간인 점을 감안할 때 시간당 교육비는 평균 79만5000여원. 스타 강사진에 버금가는 금액이다.
교육내용은 유기농밸리 이해나 유기농의 길 등 기본적인 강연을 제외하면 마케팅, 마을자원분석, 마을계획수립, 벤치마킹 등으로 짜여져 있다.
사실상 강연이 이뤄지는 총 교육시간은 56시간에 불과하며, 1명의 강사가 토양개량 이론과 관리, 퇴비제조법, 토양관리실제 등 총 18시간을 맡고 있다. 나머지 상품개발과 마케팅(8시간), 현장 벤치마킹, 해외연수 등은 위탁사인 농산어촌홍보개발원이 담당하고 있다.
이런 내용으로 볼때 농기센터가 큰 돈을 들여 위탁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는지 의심을 갖게 한다. 위탁하지않고 농기센터에서 강사를 초빙해 운영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번 교육에 참가한 주민은 70명. 이 가운데 1차로 35명이 선진지 견학을 위해 지난 4일 일본 동경으로 출발했으며, 나머지 35명도 11월 중 일본 아야정을 방문할 예정이다.
이에 들어가는 예산도 한번에 3900만원씩 총 7800만원에 달한다. 자부담 30만원을 포함해 개인당 150만원이 책정돼 있다.
결국, 유기농밸리조성과 관련해 선도 농가를 키우기 위해 단 6개월만에 관련 주민 1명 당 211만원이 투자되는 셈이다. 그 교육의 효율성에 귀추가 주목되는 이유다.
한편 1차 일본을 방문한 주민들의 일정은 오가와마치 유기농마을 방문, 지구가족 자연과 미생물연구소 견학, 하코네 지역 특산물 개발 마케팅 견학, JA사와다 절임공장 견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