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가 굽거나 휘는 척추측만증 환자 중 절반이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 척추측만증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10대 환자의 점유율이 46.5%로 가장 컸다.
또 연령별 증가율에서도 10대 증가율이 2006~2010간 21.1%로 전 연령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난해 기준 여성환자는 7만5천74명으로 남성환자(4만1천551명)에 비해약 2배가량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2006~2010년간 진료인원은 10만3천명에서 11만6천명으로 12.2% 증가했으며 총진료비는 같은 기간 109억원에서 154억원으로 40.3%가량 늘어났다.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상적인 형태를 띠지 않고 굽거나 휜 기형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몸에 맞지 않는 책상과 의자, 무거운 가방 때문에 발생한다는 설이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척추측만증은 골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시작될수록 성장 기간이 많이 남아 만곡도 더 심하게 진행된다.
또 만곡이 작을 경우 남녀의 비율에 큰 차이가 없지만 만곡이 클수록 여자의 발생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요통이 있다고 반드시 척추측만증은 아니며, 척추측만증이 있다고 해도 운동을 제한하거나 생활습관을 바꿀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전창훈 심평원 심사위원은 "척추측만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은 아직까지 없고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상을 느꼈을 때는 당황하거나 비과학적 치료에 의존하지 말고 척추 전문의를 찾아 올바른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