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배수로 지방하천 지정 부안, 농경지 상습 침수 벗어날듯

지난 8월 부안지역 범람위기의 진앙지로 꼽혔던 흥덕배수로가 지방하천으로 지정됨에 따라 체계적인 정비가 가능해졌다.

 

부안군은 지역내 흥덕배수로 11.7㎞ 구간을 포함해 지방하천인 하장천이 총 14.3㎞로 연장, 변경·고시됐다고 1일 밝혔다.

 

흥덕배수로는 매년 우기철마다 부안읍에서 줄포면까지 5개 읍·면에 걸쳐 광범위한 농경지 침수로 농작물 피해를 입혀왔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배수로 인근 몽리구역의 유수가 서해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흥덕배수로, 하장천, 동진강으로 흘러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배수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탓에 해마다 10여차례 이상 침수 피해에 시달려왔다는 것. 실제로 지난 8월 집중호우 당시 흥덕배수로가 제역할을 못하면서 수십년만에 처음으로 부안지역 범람위기를 초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김호수 부안군수는 국토해양부 등을 방문해 ‘흥덕배수로의 경우 폭이 협소한데다 경사가 완만하고 수초가 무성히 분포돼 있어 확장공사가 절실하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해왔다.

 

군 재난안전과 관계자는 “집중호우때 원활하지 위한 흥덕배수로의 배수기능 탓에 농경지 등 침수피해가 빈번했지만 이번 지방하천 지정으로 인해 체계적인 정비가 가능해졌다” 며 “앞으로 중장기 정비계획을 수립, 침수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