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자립형 녹색마을로는 전국 최초로 김제시 공덕면 중촌마을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 전기 생산에 들어갔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이날 농진청은 지난 2010년 부터 2013년까지 4년간 총 68억원을 투자, 추진하는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실증사업’의 중간성과 보고회 및 발전식을 가졌다.
김제 중촌마을은 4000두 규모의 돼지농장 및 31가구가 모여 사는 작은 마을로, 지난해 과제응모에 참여한 연구팀에 의해 토지사용 승낙 등 주민 동의를 얻어 녹색마을 실증 대상마을로 선정됐다.
이번에 가동한 바이오가스발전시설은 지난해 12월 착공, 매일 600kW씩 1년간 총 200MW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고 100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임으로써 연간 약 1억2000만원의 수익(호당 380원)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발전할 때 발생하는 열과 이산화탄소, 퇴비, 액체비료는 온실과 논 등에 환원하여 작물재배에 활용함으로써 친환경농업 도입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도 도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실증 대상마을에는 친환경축사 관련 기술 및 바이오가스, 퇴·액비 생산기술(SCB-M), 온실과 GAP시설의 냉난방용 지열히트펌프, 유리온실 제어 및 양액재배 기술 등 농진청이 개발해 온 16개 녹색기술과 신품종(설갱벼, 유연보리)이 융합돼 투입된다.
박기훈 농진청 연구운영과장은 “여러 녹색마을 중 김제 중촌마을이 제일 먼저 가동에 들어간 것은 농진청 및 우석대, 김제시청, 주민 간 협의회를 구성, 여러가지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간 것이 주요 이유다”면서 “금번 축산분뇨로 만든 전기가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에 희망의 빛이 되길 기대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