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25일자 8면 보도)
이는 당초 지난 24일 김호수 부안군수와 노조원들이 교통대란의 종지부를 찍기 위한 의견접근에 나섰는데도 불구하고 군이 후속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상호불신만 키우면서 노조원들의 항의집회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새만금교통 노조원들은 28일 ‘부안군의 조령모개식 행정을 신뢰할 수 없다’면서 부안군청앞에서 확성기를 앞세운 항의집회를 재개했다.
이 회사 노조는 “지난 24일 김호수 부안군수와의 면담을 통해 ‘노조원들의 재취업을 보장한다’는 내용의 협약서에 서명했고, 하룻만인 25일 부안군 담당자가 ‘농어촌버스 11대를 증차하겠다’고 통보해왔다”고 말했다.
이어서 “이는 그동안 ‘증차대수는 유동적’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해왔던 부안군이 군-노조 합의를 빌미삼아 단숨에 손바닥을 뒤집은 처사”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노조 관계자는 “버스 증차규모를 놓고 부안군과 노조가 첨예하게 대립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안군의 이번 행태는 자기모순에 빠진 것”이라며 “잠정중단할 예정이었던 항의집회를 강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보다 앞서 농어촌버스의 증차규모와 관련해 노조측은 ‘군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17대 가량을 증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부안군은 ‘10~11대가 적정규모’라는 입장을 제시한 바 있다.
이처럼 부안군이 노조와의 해빙기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채 파행을 확산시켰다는 지적이 두드러지면서 ‘서투른 군정’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대해 부안군 관계자는 “농어촌버스의 증차규모를 노조측에 설명하는 과정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었으며, 증차규모는 여전히 유동적”이라면서 “부안지역 농어촌버스 운행을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새만금교통 노조의 반발을 완화시키는 것이 선결과제인 만큼 노조와의 물밑협의에 다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