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함께 마리나 개발이 전국 해안 40여곳에서 일제히 추진됨에 따라 해양레저스포츠산업 선점을 위한 자치단체간 치열한 경쟁도 불가피하게 됐다.
국토해양부는 오는 2015년까지 동북아시아를 리드하는 요트·마리나 허브국가로 도약한다는 목표로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 및 지원방안을 담은 ‘마리나산업 육성대책’을 제7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의결했다고 7일 밝혔다.
마리나는 바다와 강·호수 등에서 요트 정박 외에 보관·임대·수리·판매 및 리조트·컨벤션 등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양관광 인프라를 일컫는다.
국토부는 마리나를 확충하기 위해 개발전략을 보완하고 민간투자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오는 2019년까지 전국 해안에 44개소의 마리나항만을 개발·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현재 운영되고 있는 마리나항만은 부산 수영만과 목포 등 14곳에 이르며 3곳은 개발중이다.
도내에서는 군산 비응항과 고군산군도(신시도) 등 2곳이 국가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대상지에 포함돼 있다.
군산시 관계자는 “민자유치를 포함해서 구체적인 마리나 개발사업 추진계획은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면서 “정부가 육성대책을 발표한 만큼, 기반시설에 대한 국비지원을 요청하는 동시에 사업도 구체화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