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11월 30일자 11면 보도)
특히 노조측은 ‘군은 자주관리기업 설립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물리적 충돌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자주관리기업 수용여부가 새만금교통 폐업사태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새만금교통 노조원 30여명은 8일 부안군청을 찾아 ‘부안군은 자주관리기업 설립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노조원들은 이날 박명환 부군수와 면담을 갖고 “부안지역 농어촌버스 운행정상화를 위해서는 새만금교통 퇴직직원들이 직접 회사를 운영하는 방안이 유일한 해법”이라면서 “차량은 직원들이 구입할 예정이며, 부안군은 차량 주차부지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보다 앞서 부안군은 2일 지역내 유일한 농어촌버스업체로 남은 스마일교통㈜의 버스증차를 전제로 전세버스 투입규모를 10대(기존 2대)로 대폭 늘렸으며, 스마일교통측도 ‘오는 15일까지 증차에 대비한 직원 10여명을 모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정이 이런데도 새만금교통 노조측이 뒤늦게‘자주관리기업 설립’을 주장한 것은 부안군에 대한 깊은 불신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김호수 부안군수가 ‘직원 전원 취업재보장’을 약속했으면서도 부안군의 후속대책은 미흡했던 게 사실”이라면서 “스마일교통 재취업여부도 불투명한 만큼 현재로선 자주관리기업 설립이 새만금교통 폐업사태 해법의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이미 자주관리기업의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는 충북 청주의 한 업체를 방문해 벤치마킹을 마무리했고, 이를 통해 자주관리기업의 성공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부안군이 자주관리기업 설립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물리적 충돌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부안군은 ‘자주관리기업 설립은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양측 갈등이 더욱 깊어질 것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군 관계자는 “담당자들이 청주시를 3차례 방문해 자주관리기업의 성공여부를 타진한 결과 ‘부안군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잠정결론을 냈다”면서 “현재로서는 스마일교통 증차 및 새만금교통 직원들의 재취업을 위한 후속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