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차원 협력시스템 구축돼야

내년 주5일제 시행 성공하려면

내년부터 시행되는 주5일제에 대해 학생과 교사, 학무모 등 학교 현장에서는 찬성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부부 아이들에 대한 별도의 대책 없이 추진된다는 게 문제다.

 

전문가들은 도내 교육과 행정, 문화, 복지, 체육 등의 관련 기관들이 모여 주5일제에 대응할 수 있는 '협력 시스템'을 구축,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주문하고 있다.

 

 

△길거리로 내몰리는 저소득층 자녀들

 

현재 초중고 가정의 20∼30% 정도는 주5일 근무제를 하지 않고 있다.

 

이중 20%만 주6일 이상 일한다해도 도내에서 5만명 정도의 학생들이 주5일제 도입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도내 학생 수는 2만5000여 명이다.

 

문제는 맞벌이 가정의 자녀나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다. 이들은 토요일에 학교대신 집에 혼자 있거나 피시방 등 다른 곳을 찾아야 한다. 또 거리를 배회해야지만 현재까지 주5일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공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 교육청은 주5일 수업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도에 토요돌봄교실 운영비로 12억원을 편성했다.

 

또 각 학교별로 스포츠동아리를 운영하고, 예술교육을 지원해나갈 계획이지만, 주5일제 수업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주5일제 협의기구 만들어야

 

지역에서는 현재 도교육청의 대책이 주5일제 수업 대책의 전부다. 그나마 도가 토요 돌봄 및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아동센터를 활용한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확대 운영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추진 방향이 결정되지는 않았다. 이런 가운데 지역사회가 주5일제 수업에 대한 협의체를 구성, 공동 대응해야 할 것으로 요구된다. 도교육청과 도, 시군청, 동사무소 ,지역주민센터, 복지기관, 청소년 단체, 문화단체 등이 머리를 맞대고 '공공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실제 전라남도는 최근 전남교육지원청, 한국청소년 진흥원과 주5일 수업제 등 청소년 체험활동 보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부천시는 청소년 수련시설, 시민단체 등 약 30개 기관이 월1회 정례회의 개최를 통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