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기정은 한국인이다"

IOC 홈피, 한국인 지위 회복

▲ IOC는 손기정 선생의 약력을 바로잡아 달라는 대한체육회(KOC)의 요청을 일부 받아들여 홈페이지 선수 소개란에'손기정(Sohn Kee-Chung)'이 일본식 이름인'키테이 손(Kitei Son)'으로 표기된 시대적 배경 등을 자세하게 설명한 자료를 새로 올린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연합뉴스
일제 강점기에 올림픽 금메달을 딴 손기정(1912~2002) 선생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홈페이지에서 그간 잃어버렸던 한국인으로서의 지위를 상당 부분 회복했다.

 

IOC는 손기정 선생의 약력을 바로잡아 달라는 대한체육회(KOC)의 요청을 일부 받아들여 홈페이지 선수 소개란에 '손기정(Sohn Kee-Chung)'이 일본식 이름인 '키테이 손(Kitei Son)'으로 표기된 시대적 배경 등을 자세하게 설명한 자료를 새로 올린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종전 IOC 홈페이지에서는 '1936년 베를린대회 마라톤 우승자인 일본의 키테이 손은 일본에 점령당한 한국의 손기정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1948년 런던올림픽 때 한국선수단 기수를 맡고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는 성화주자로 나섰다'는 두 문장으로 짤막하게 설명돼 있었다.

 

하지만 분량이 5배가량 늘어난 새 소개란은 '한국의 손기정(남한)은 1935년 세계신기록을 세웠다'고 첫머리부터 한국인임을 분명히 밝혔다.

 

또 '한국이 일본에 강점됐기 때문에 손기정과 동료 남승룡은 일본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할 수밖에 없었다. 손기정은 열렬한 민족주의자였다'고 덧붙였다.

 

KOC 관계자는 "IOC가 손기정 선생의 이름과 국적을 바꾸지 못하는 것은 과거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수많은 식민국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IOC는 이들 국가가 전부 자료를 고쳐 달라고 하면 대혼란이 생길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