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이 최근 지방교육의 황폐화를 우려,반대의사를 밝힌 정부의 고교내신 '절대평가'에 대해 전국 보수진영 교육감들이 공식적인 지지의사를 밝히고 나섰다.
대전시와 충남도, 충북도,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도, 경남도, 제주도 등 보수성향의 9개 지역 교육감은 지난 16일 '성취평가제 도입관련 의견'이란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 본질을 살리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내신평가를) 절대평가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현행 석차 9등급제는 21세기 글로벌 인재 양성에 한계가 있고, 상대평가인 이 제도로 학생간의 과도한 경쟁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가 너무 높다"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는 전북도교육청이 주장한 고교내신 상대평가를 반대하는 것은 물론, 교육정책을 놓고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이 대립하는 것이어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북도교육청은 앞서 "절대평가를 골자로 한 성취평가제가 자사고와 특목고 등만 살리고 농어촌고교와 일반고 등을 황폐화시킬 수 있다"라며 우려감을 나타냈다.
특히 "일부 대학들이 절대평가를 악용, 특정학교(자사고와 특목고) 학생들을 선호함으로써 학교의 서열화와 고교 등급제 출현이 우려된다"며 안전장치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 문제가 지방교육의 존폐 여부와 연결되는 것을 감안, 보수 대 진보의 대결이 아니라 소도시 대 대도시의 대결구도로 진행돼야 한다"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