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안정 원해… 남남갈등 없어야"

李 대통령, 여야대표 회동… "조문 정부원칙 훼손되면 곤란"

▲ 이명박 대통령이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민주통합당 원혜영 공동대표 등 여야 지도부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초당적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유정 민주통합당 원내대변인, 김진표 원내대표, 원혜영 공동대표, 이 대통령,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황우여 원내대표, 황영철 원내대변인. 연합뉴스

이명박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해 "우리가 취한 조치들은 북한을 적대시하지 않다는 것을 북한에게 보이기 위함이고, 북한도 이 정도까지 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가진 여·야대표와의 회담에서 "전방의 군도 낮은 경계 상황이며, 북 체제가 안정되길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날 회담에는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황우여 원내대표, 민주통합당 원혜영 대표·김진표 원내대표가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정부가 고심 끝에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해) 여러 가지 입장들을 정리하고 원칙을 정해 발표했다"며 "여·야가 협조해서 사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현재 북한 체제가 확립되려면 시간이 걸릴텐데 미·중·러 모두 북한이 안정되기를 바라는 뜻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과 직접 통화를 하지 않은 데 대해서는 "후 주석은 우리뿐 아니라 이번 사태와 관련해 어떤 나라와도 직접 통화를 하지 않았다"면서 "중국이 외교장관끼리 통화하자고 해서 통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 김 원내대표는 "대북 정보망이 무너졌고 특히 정보 분석 평가 능력에 문제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 했고, 이에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 사망을 북한 발표를 보고 알았고 그 전에 몰랐던 게 사실이지만 우리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도 몰랐다"며 "우리의 정보력이 걱정할 만큼 그렇게 취약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 "한·미 정부 간 정보공유가 대단히 잘 이뤄지고 있으며, 미국도 우리 정보가 유용하기 때문에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민주통합당 원혜영 대표와 김 원내대표가 민화협 차원의 민간 조문단 파견을 요구한데 대해 "원칙이 훼손된다면 곤란하다"면서 "민화협의 조문외교가 필요하다고 야당이 거듭 제기하는 뜻은 충분히 알지만 그런 점을 감안해 정부 입장을 정리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가 이런 문제를 갖고 흔들릴 경우 북한이 남남갈등을 유도할 수도 있다"면서 "이번에 조문을 예외적으로 인정한 것은 답방 기준으로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 사망 등과 관련해 미국, 일본, 러시아 정상들과 전화통화를 했으며, 내년 초에는 중국 국빈방문이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