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장염 바이러스 원인 첫 규명…AI방역 도움



그동안 AI,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와

증상이 비슷해

방역혼란을 일으켰던 오리장염 바이러스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규명했습니다.

 

채널에이 제휴사인

전북일보 은수정기자가 보도합니다.

 

===============================================

 

오리의 산란율 감소와

고열 설사 침흘림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모두 고병원성 AI는 아닙니다.

 

대학 연구진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오리장염 바이러스를 찾아냈습니다

 

[장형관-전북대 수의과학대학 교수]

“AI로 의심하고 의뢰됐던 가검물들이

아마도 오리장염에 의해 발병된 개체가 아닌가 하고 추정할 수 있는”

 

연구진은 조류질병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오리 장염 바이러스를 검출했습니다.

 

장염에 걸린 오리는

산란율이 최대 80%까지 감소하고,

폐사율도 40-50%에 달합니다.

 

[장상호-전북대 수의대 대학원생]

“전염성질병이기 때문에 폐사율도 높고 AI와 같이 산란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오리산업에 피해를 막대하게 끼치는 질병이라고”

 

연구진은 농림수산식품부와 협의해

전국적으로 장염 바이러스 확산 정도를 조사한 후

예방백신 개발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오리장염 바이러스가 규명돼

AI로 오인된 방역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북일보 은수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