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경기 침체 탓에 대형 아파트가 '애물단지'로 전락하면서 올해들어서는 건설회사들이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지어 분양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연합뉴스가 10대 건설사의 올해 아파트 분양계획을 취재한 결과 면적형이 잠정 확정된 5만3340가구 중 74%에 해당하는 3만9651가구가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면적별 잠정 공급계획을 공개한 회사는 시공능력평가순위 10위권 업체 중 현대건설, 삼성물산, GS건설,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7곳이다. 이 중 포스코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은 상반기 분양 예정 아파트의 중소형 비율만 제공했다.
회사별로 중소형 분양 비율을 보면 GS건설이 88%로 가장 높고 포스코건설 86%, 현대건설 83%, 현대산업개발 81%이 80%대의 높은 비중을 보였다.
GS건설은 올해 전체 공급예정 물량 8025가구 중 7049가구를, 현대건설은 7900가구 중 6544가구를 각각 중소형으로 잠정 배정했다.
지난해 가장 많은 아파트를 공급한 대우건설은 올해도 10대 건설사 중 최다인 1만7529가구를 분양키로 하고 이중 71%인 1만2522가구를 중소형으로 할애한다.
워낙 중소형 선호현상이 강하다 보니 모든 가구를 전용면적 85㎡ 이하로 공급하는 단지도 많다.
현대산업개발은 상반기 경기 안산시 신길동과 고양시 삼송지구 20블록에서 각각 441가구와 1066가구를 모두 중소형으로 분양하고, 포스코건설은 대구 이시아폴리스 4차(770가구)와 동탄 2기신도시 A15블록(1439가구)을 100% 중소형으로 공급한다.
삼성물산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청실아파트 재건축 사업에서 122가구의 일반분양 물량을 강남권에서는 드물게 중소형에 해당하는 59㎡와 84㎡로만 분양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