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서 잇따라 교육당국이 학교폭력을 은폐 축소하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돼 보다 적극적인 진상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요구된다.
최근 전북도교육청 인터넷 홈페이지 '교육감에 바란다' 코너에는 도교육청과 학교 측이 학교폭력을 의도적으로 숨기거나 서둘러 덮으려한다는 학부모들의 원망 섞인 글이 연달아 올라오고 있다.
지난 4일 전주에서 발생한 고등학생 투신자살 사건과 관련, 이 학생의 형인 A씨가 도교육청과 학교 홈페이지에 동생의 죽음은 학교폭력 때문이란 글을 올렸다.
A씨는 동생이 학교폭력과 관련해 학교 내 선생님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묵살당한 채 하늘나라고 갔는데, 사고를 자꾸 은폐시키려 한다고 울분을 토했다.
특히 선생님이 같은 반 급우들에게 입단속도 시키고, 일일이 학생들에게 조심하라고 무언의 압력을 넣었다며 보다 정확한 진상 조사를 주문했다.
서곡중 학부모 B씨도 1학년생 자녀가 지난해 6개월간 동료 2명으로부터 폭력을 당했는데도, 제대로 보고조차 안되고, 징계도 경미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B씨에 따르면 해당 선생님에게 이 사실을 알렸으나 교장에게 10여 일간 보고조차하지 않았다. 도교육청도 제대로 조사하지 않는 등 미온적이기는 마찬가지.
또한 가해 학생이 학교폭력자치위로부터 징계(사회봉사 5일)를 받은 이후에도 반성기미가 없고, 추가 폭력행위가 드러나 재심의를 요청했으나 묵묵부답이다.
서일초 학부모 C씨도 6학년 생 자녀와 친구 등 2명이 동료로부터 지난해 4월부터 폭력을 당해왔는데도, 교육당국의 대응이 너무 안일하다고 호소했다.
이 학교는 가해 학생에 대해 지난해 11월 학교폭력자치위원회를 열어 피해학생에 대한 정신치료와 각서 등 재발방지책 마련, 공개사과, 전학 등의 징계를 내렸다.
그러나 가해학생이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피해학생에 대한 정신치료 등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데도 불구, 학교와 도교육청이 수수방관한다는 것.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부모들이 요구하는 것과 도교육과 학교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라며 "앞으로 학교폭력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사전예방과 사후처리에 뛰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한해 도교육청이 집계한 학교폭력 발생건수는 289건으로, 청소년 관련단체인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의 상담건수 3951건과 무려 10배 이상 차이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