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일부 대학들이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 각종 평가를 받을 때 이미 취업한 학생들을 포함하는 수법으로 취업률을 높게 책정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최근 사립대학의 학사운영·회계관리 실태를 점검 발표한 가운데 도내 6개 대학이 기취업자를 취업률에 계산하는 방법으로 취업률을 부풀려오다 적발됐다.
이들 대학들은 산업체 재직자 특별전형 등으로 이미 대학에 입학할 때부터 취업 중이었던 학생까지도 취업률을 계산할 때 마구잡이식으로 포함시켜왔다.
기취업자의 취업이 해당 대학의 교육성과로 인한 것이라 보기 어려운데도 불구, 취업률에 포함해 학생들의 혼란을 부추겼다는 게 감사원의 설명이다.
취업률은 정부가 교육역량강화사업 등 재정 지원 대학을 선정하거나, 학자금 대출의 제한 또는 재정지원 제한 대학의 선정 기준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 도내 6개 대학은 지난해 정부지원제한대학을 선정할 때의 취업률을 실제 취업률로 바꿔 평가하면 순위가 떨어지거나 올라가는 등 변동이 있다.
A대학의 경우 애초 137위에서 138위로 한 계단, B대학과 C대학은 각각 애초 135위에서 137위, 127위에서 129위로 두 계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대학 이미지는 물론 정부의 대학 평가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라며 "대학들은 기취업자를 제외한 실질 취업자를 취업률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