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음식은 4~5열로 배열한다. 1열은 밥·술잔·수저·국, 2열은 국수·고기·적·생선·떡, 3열은 탕, 4열은 포·나물·젓갈, 5열은 과일을 놓는다.
첫째 줄에는 밥과 국을 신의 수대로 놓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평상시 밥과 국 놓는 위치와 정반대 위치라는 것. 즉 밥이 서쪽, 국이 동쪽이다.
둘째 줄에는 전과 적을 놓는다.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생선류는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 것이 원칙. 고인이 생전에 즐기던 음식을 놓으면 금상첨화다.
셋째 줄은 어탕, 육탕, 소탕 등을 올리는 탕의 자리다. 전 원장은 "땅에 뿌리를 박지 않은 고기나 생선 등은 하늘에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양의 숫자인 홀수로 놓는다. 탕에 건더기만 떠서 놓는 것은 조상이 먹기 편하게 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넷째 줄은 나물과 식혜, 김치, 포 등이 올라간다. 나물은 역시 귀함을 뜻하는 양의 숫자인 홀수로 놓는다. 김치도 희게 담근 나박김치만 올리는데 이는 깨끗하고 순수한 음식만을 올리는 것이 예라고 여겼다.
다섯째 줄의 과일을 놓을 때는 동조서율(東棗西栗), 조율이시(棗栗梨枾), 홍동백서(紅東白西) 순이다. 조율이시는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놓되, 대추 밤 배 감 등의 순으로 놓는다는 것이다. 홍동백서는 동쪽에 붉은 과일을 서쪽에 흰 과일을 놓는 것을 뜻한다. 본래 과일류는 짝수로 맞추도록 돼 있다. 땅에 뿌리를 둔 것은 음수인 짝수로 놓는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