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석하게도 출토 당시 이미 종신의 절반 이상이 파손된 상태로 발굴되어 완형의 모습은 알 수 없지만 남아 있는 주악상을 포함한 비천상과 하대 및 당좌의 모습을 통해 통일신라 범종의 모습을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다. 완형 혹은 파종으로 현존하는 통일신라 범종의 수가 희소한 점을 감안한다면 실상사종의 존재는 한국 범종의 전형을 완성한 통일신라시대 범종의 양식을 규명하는데 있어 전범과 같은 존재다. 이미 학계에서는 실상사 출토종은 규모 면에서 상원사종에 버금가는 중대형의 범종이었으며, 전형적인 항아리형 종신을 가진 종이였음이 밝혀졌다.
특히 주악비천상의 경우도 천의의 자연스러운 굴곡, 천의를 장식한 다양한 장엄구, 섬세한 안면표현과 신체의 양감을 통해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상원사종(725년)의 주악상과 더불어 통일신라 범종의 주악비천상을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이 파종의 주악상은 통일신라시대 음악상을 살피는데 귀중한 사료로 주목되었다. 범종의 종신에 조각된 2구의 주악상은 서로 마주보며 생황과 횡적을 연주하는 모습으로 나란히 구름을 타고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한 자세로 날고 있다.
먼저 생황을 연주하는 왼쪽 주악상은 전체적으로 직삼각형을 이루는데 몸을 약간 돌리고 두 손으로 생황을 받들고 있다. 그러나 이 생황은 8세기 전반 상원사 소장 범종의 생황과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독창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또 횡적을 부는 오른쪽 주악상은 연화좌에 반듯하게 앉아 몸은 생황을 부는 주악상을 바라보고 있다. 몸을 튼 자세로 적을 불어 마치 종적을 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입가에 피리의 끝이 표현되어 있어 횡적을 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황과 종적을 불고 있는 비천의 풍만한 모습은 신라불상의 양식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 종은 남아 있는 부분의 입지름으로 보아 상원사동종보다 약간 큰 규모였으리라 추정되는데, 실상사의 창건 때인 828년(헌덕왕 3) 함께 주조되었다고 생각된다.
실상사 출토종의 구성요소는 8세기 범종의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며 새로운 모티브의 표현 등으로 통일신라 후기 9세기 범종과의 영향관계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의 9세기 초의 범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 통일신라시대 음악상을 알려주는 악기까지 문양 되어 있으니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한 유물인지 다시 한번 보여준다. 신라 천년의 향기가 지역과 시대를 뛰어넘어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는 유물인 셈이다.
전북도문화재전문위원·한별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