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1일 직무와 관련해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두고 전주 완산을 총선 예비후보 김호서 전 전북도의회 의장을 소환해 조사를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건 초기 단순 공무원 음해사건이 전방위 로비사건으로 비화된데 이어 이번엔 경찰의 칼날이 2개월여 남은 총선을 겨냥하는 등 지역 정가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1일 전북지방경찰청은 (유)세계화원관광 대표 유모씨(53)로부터 상습적으로 선물과 현금을 받아온 혐의(뇌물수수)로 김 전 의장을 소환, 전달 금품의 대가성 여부를 강도 높게 캐물었다.
경찰 관계자는 "총선 예비후보 1명을 피내사자 신분으로 불러 도의원 재직시절 직무와 관련해 여행사 대표로부터 대가성 금품을 받았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했다"며 "각종 정황과 이미 압수해 증거로 채택된 로비 명단에 이름이 거명된 만큼 대가성 여부에 조사 촛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날 김 전 도의장은 오전 9시께 경찰에 출석해 오후 7시 20분께 귀가하는 등 10여 시간에 걸쳐 강도높은 조사를 받았다. 경찰 조사에서 김 전 도의장은 일부 명절 선물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현금 등 금품 수수 혐의에 대해서는 '사실무근'이라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도의장은 이날 경찰 조사를 받고 나오면서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다"고 일축하며 경찰청을 빠져 나갔다.
이에 앞서 경찰은 여행사 대표 유씨로부터 현금과 금품 등을 전달받은 400여명의 정·관계 인사 가운데 4.11 총선 예비후보자 4명을 압축했다.
경찰은 4명 가운데 김 전 도의장을 제외한 예비후보 3명의 경우 받은 선물이 소규모이고, 받은 횟수도 1~2차례에 그쳐 단순 명절 선물이라고 판단, 무혐의 내사 종결했다.
경찰은 앞으로 정치인과 공무원 등 20여 명에 대한 추가 조사를 벌인 뒤 금품을 받은 시기와 날짜 등을 따져 사법처리 대상자를 압축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지난 31일 또 다른 전직 도의장에 이어 이날 김 전 도의장도 소환 조사를 받는 등 유씨의 정관계 인사들에 대한 경찰의 수사 칼날이 총선을 앞둔 정가를 정면으로 겨냥, 오는 4.11 총선의 최대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압축된 피내사자들의 혐의 부인과 상관없이 대가성만 인정되면 사법처리 수순을 밟을 예정"이라며 "총선이라는 국민 대 행사가 예정된 만큼 신속하고 정확한 수사를 벌여 의혹을 종결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 올바른 투표권 행사를 위해 혐의를 두고 있는 대상자들의 명단 등을 공개해야 할지 고려했지만 이는 피의사실공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됐다"며 "수사 과정의 내용을 적나라하게 밝힐 수도 이들의 이름을 공개할 수도 없는 현실을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