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운동부나 특기생 감소로 엘리트 체육은 위축되는 반면, 고령화 사회를 맞아 체육활동은 갈수록 다양화되고, 대중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가 지난해 만 20세이상 성인 남녀 9768명을 표본으로 선정, '도민체육참여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내 생활체육의 전반적인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자료가 추출된 바 있다.
1회 30분 이상 운동하는 사람의 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주 2회이상 운동하는 사람은 59.4%, 주 3회이상 운동비율은 30.0%로 나타났다.
운동장소는 상업스포츠시설이 23.2%, 집 주변이 22.4%, 공공체육 시설이 16.8%, 학교운동장이나 체육관이 10.85 등이었다.
선호하는 운동 종목은 육상(14.0%), 등산(10.8%), 축구(9.2%), 수영(7.2%), 배드민턴(7.0%), 헬스(5.5%), 골프(4.6%)의 순이었다.
장래 해보고 싶은 운동은 골프(9.1%), 등산(5.8%), 수영(5.7%), 게이트볼(5.2%), 요가(4.6%), 축구(4.45%) 순이었다.
이용하는 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57.3%), 보통이다(24.5%), 매우 만족한다(8.7%), 불만족한다(6.5%), 매우 불만족한다(3.0%)로 나타났다.
그러면 체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도민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각종 시설과 장소의 확충및 개방(53.8%)을 첫손에 꼽았다.
프로그램의 개발및 보급(18.3%), 지도자의 양적·질적 보강(10.0%), 용품의 품질개선및 보급(9.8%), 기타(8.1%) 등이 뒤를 이었다.
현재 도내 체육시설은 총 1763개에 달한다.
공공체육시설이 316개(18%), 학교체육시설이 904개(51%), 동네 간이체육시설이 543개(31%) 등이다.
체육시설은 축구나 야구처럼 선호도가 높은 종목의 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고, 특히 학교 체육시설의 개방률이 매우 저조한 상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723개 학교시설중 422개가 개방하고 있고, 301개는 개방하지 않아 개방율이 58.4% 수준에 머물고 있다.
고교는 단 5%만이 개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생활체육인들은 "동네 체육시설 확충을 통해 운동시설이 부족한 현상을 해소하고, 수업에 지장이 없는 범위내에서 학교 체육시설을 인근 주민들에게 적극 개방해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