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메기탕 한입에 얼었던 속 풀리고 주꾸미 샤부샤부에 때이른 봄내음…좋은 재료에 손맛 더해지니 "달다 달아"

부안상설시장서 만난 겨울 별미…물메기탕, 겨울무 넣어 깊은 맛·회로 먹으면 바다향 물씬 주꾸미는 살짝 데쳐야 제맛…칼로리는 낮고 영양은 풍부 부안상설시장내 횟집 10여곳 각각 전국 최고의 손맛 자랑

▲ 부안상설시장내 형제식당 주인인 전혜란씨가 주꾸미 샤부샤부를 맛있게 먹는 법을 직접 보여주고 있다. 부안=정진우기자 epicure@

한입 베어 물었더니 달큼했다. 부안상설시장안에 있는 형제식당에서 만난 물메기탕이다. 식당 주인이 별다른 기교를 부리지 않고 물메기와 고추장양념만으로 맛을 낸 탕국물은 감칠맛이 일품이다. 국물 몇 숟가락을 후루룩 떠먹는 것만으로도 겨우내 쌓인 시름이 사라진다. 주인은 내장을 제거한 뒤 머리와 몸통을 듬성듬성 잘라낸다. 다진 마늘, 고춧가루 등으로 양념하고 무와 미나리 등 갖은 채소와 함께 보글보글 끓인다. 물메기의 부드러운 고깃살이 겨울무를 만나 비리지 않고 시원한 맛을 낸다.

 

물메기요리가 처음 개발된 지역은 강원도로 알려져 있다. 거친 파도와 싸우며 고기를 잡는 뱃사람들이 매서운 추위를 이기거나 아침마다 쓰린 속을 달래기 위해 묵은 김치를 숭숭 썰어넣은 물메기탕을 즐겨 먹었다는 게 정설이다. 이후 입소문이 퍼져 물메기탕이 겨울철 해장국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는 것. 남해안에서는 소금과 재래간장으로 맑게 끊여낸다. 하지만 부안상설시장식 물메기탕은 다르다. 묵은 김치 대신 겨울무로 깊은 맛을 더했다.

 

물메기의 고깃살은 수분함량이 많은 탓에 연두부처럼 부드럽고 무르다. 뼈를 발라낸 뒤 흐물거리는 고깃살을 접시에 담아 후루룩 입속으로 흡입하면 그만이다. 특히 껍질과 살 사이의 흐물거리는 부분이 물메기탕의 압권이다. 물메기요리 마니아일수록 껍질쪽으로 젓가락을 돌린다.

 

고기를 건져먹은 뒤 국물에 밥을 말아 먹으면 어느새 숙취가 풀린다. 숙취가 사라지니 물메기탕을 안주 삼아 술잔을 돌리기 일쑤다.

 

물메기요리는 각종 비타민을 비롯해 단백질·철분·칼슘 등을 고루 갖췄다는 점에서 겨울철 보양음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감기예방과 피부미용에도 좋다.

 

물메기회도 절묘한 맛이다. 껍질이 벗겨진 속살은 우윳빛깔을 낸다. 회 한점을 입에 넣으면 비린내가 빠진 바다향이 퍼진다.

 

부안군청 김창조 홍보계장은 "서해안이라면 어디에서나 물메기가 나오지만 부안상설시장의 물메기탕은 맛이 다르다"면서 "겨울무와 결합한 고깃살이 부드러워 아이스크림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

 

주꾸미 샤부샤부는 또다른 별미다. 주꾸미는 회로도 먹고, 무쳐먹고, 데쳐먹고, 삶아먹고, 볶아먹고, 구워먹는다. 이 가운데 주꾸미볶음이 술안주용이라면 양념이 격하지 않은 샤부샤부는 가족용이다.

 

주꾸미는 살짝 데쳐야 한다. 오래 삶으면 딱딱해지고 맛이 사라진다. 몸통이 붉은색으로 변할 때가 건져낸다. 초고추장을 찍어 입안에 넣으면 이른 봄향기를 맡을 수 있다. 잃었던 입맛이 어느새 돌아온다. 주꾸미는 영양도 많다. 칼로리가 낮으면서도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빈혈에 좋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

 

샤부샤부는 육수가 맛을 좌우한다. 형제식당의 주꾸미샤부샤부는 재래식 된장과 미더덕으로 맛을 낸다. 국물이 시원하다. 된장의 구수한 맛과 주꾸미의 질감이 더해져 황홀한 맛을 낸다. 먹통은 완전히 익힌 뒤 한입에 넣고, 라면사리를 넣어 끓이면 더할 나위 없는 맛이 완성된다.

 

주꾸미볶음은 주꾸미에 채소를 섞고 들기름이나 참기름을 쳐서 살짝 볶는다. 고추장의 칼칼한 맛이 주꾸미의 씹는 맛을 더해준다.

 

 

▲ 형제식당을 즐겨 찾는다는 단골손님들. 물메기탕과 주꾸미 샤부샤부의 깊고 개운한 맛을 자랑하던 이들이 젓가락으로 주꾸미와 야채를 들어 보이며 밝게 웃고 있다. 정진우기자

이 식당의 전혜란씨(51)는 "문어의 쫄깃쫄깃 씹는 맛과 낙지의 부드러운 감칠맛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게 주꾸미"라면서 "이맘 때부터 살이 통통오르는 주꾸미가 최고의 제철음식"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숭어회를 곁들이면 더할 나위 없는 식탁이 된다. 부안군청 최연곤 기획계장은 "물메기탕과 주꾸미샤부샤부 외에도 이맘때의 숭어회는 회 중의 회로 불린다"면서 "이맘때의 숭어는 쫄깃함에서 다금바리와 견줄 수 있다"고 말했다. 최 계장은 "숭어 특유의 맛을 느끼기 위해서는 맨살에 간장만 살짝 찍어야 한다"면서 "숭어회는 처음에는 쫄깃거리는 육질에, 씹으면 씹을수록 나오는 단맛을 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부안상설시장안에는 형제식당외에도 10여곳의 식당이 성업 중이다. 형제식당이 시장 안 횟집 가운데 가장 최근에 문을 열었고, 보람횟집, 진호수산, 신우정식당, 금강식당, 모양식당, 변산횟집, 자매식당, 장안횟집 등이 저마다의 손맛을 자랑한다. 보람횟집은 단골손님들에게 특별히 내주는 범게장이 유명하고, 신우정식당의 물메기탕맛도 전국 최고를 자부한다. 자매식당은 음식맛 만큼은 누구와 견주어도 뒤지지 않고, 장안횟집은 질좋은 재료를 쓰면서도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동장군을 피해 서둘러 봄내음을 맛보고 싶다면, 이번 주말에 부안상설시장을 찾아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