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가 성준숙 명창(68)을 새로운 이사장으로 맞아들였으나, 국악계에서는 이를 기점으로 전주대사습이 쇄신할 수 있을 지 '기대반 우려반'으로 지켜보고 있다.
성 이사장은 19일 기자들과 만나 전주대사습과 오랜 인연을 강조하면서도 쇄신을 통한 발전안에 대해선 '신중론'을 견지했다. 성 이사장은 "어떤 발전 방안을 내놔야 할 지 윤곽이 잡히지 않았다"며 "나름대로 생각하고 있지만, 그것을 바로 관철시킬 수 있을 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두고 전주대사습의 공식 지도부가 쇄신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주변의 기대에 부합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소리꾼들의 이해집단으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았던 대사습보존회가 새롭게 거듭나려면 소리꾼 중심의 기득권과 과감한 단절을 해야 하나, 이들의 입지만 더 강화시켜줄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다.
이같은 혹평 이면에는 그간 대사습보존회가 자력으로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의 성장 동력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데 있다. 실제로 국악인들 사이에서 36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전주대사습이 임방울진흥회가 20여 년 간 운영해온 '임방울 국악제 전국대회'만 못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악인 외에도 언론인·공무원·경제인 등으로 구성된 임방울진흥회는 소리꾼들의 입김에 휘둘리지 않고 철저히 관객들을 위한 국악제를 기획하는 데 주력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비교적 공정한 심사로 대회의 위상이 살아나면서 1700석이 모자랄 정도로 판소리를 즐기는 관객들이 몰려들고 있다. 게다가, 임방울진흥회는 국악제 기간에는 아마추어 국악인들을 위한 '판소리 장기자랑'을, 국악제 앞·뒤로는 '임방울 국악교실'을 통해 국악 대중화에 힘을 쏟고 있다. 심지어 매년 국악제 평가보고서를 제작, 발전방안을 자체 검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맥락으로 일각에서는 "지난해 전주MBC가 대사습보존회를 거의 배제하다시피하면서 전주대사습을 변신시킨 것은 더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 아니겠느냐"면서 "전주대사습이 제대로 거듭나려면, 예산을 지원하는 지자체와 방송사가 소리꾼들이 맘대로 못하게 하는 게 관건"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앞서 대사습보존회가 지난 10일 이사회를 통해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 정관을 일부 개정한 것을 두고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사회는 이날 정관 제2조 중 대사습보존회는 전주에 두되, 필요한 곳에 지회를 설치하도록 개정했다. 하지만 지역 문화계는 이를 두고도 "다른 지역에 사무실을 마련하면, 대사습이 더 나아지느냐"면서 "소리꾼들이 감투쓰려는 욕심 보다는 대사습이 제대로 발전할 수 있도록 쇄신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