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녹색제품 구매 소극적

전국16개 시도 중 실적 최하위

전북도가 에너지·자원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녹색제품 구입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의회 백경태 의원(문화관광건설위)은 8일 제288회 임시회 도정질의에서 "녹색소비에 대한 공공기관의 관심이 늘면서 녹색제품 구매실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전북도는 이같은 추세에 역행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백의원에 따르면 도 본청과 14개 시·군을 포함한 도내 자치단체의 녹색제품 구매실적(2010년 기준)은 평균 56.4%로 전국 평균(62.9%)에 미달, 16개 시·도 중 최하위 실적을 보였다.

 

정부는 공공부문의 녹색제품 의무구매를 법제화(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해서 매년 기관별 구매이행 계획을 수립·공표하고, 구매실적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따라 전북도에서도 지난 2008년 12월 '전라북도 녹색제품 구매 촉진 조례'를 제정해 관련 시책 추진 의지를 담았다. 그러나 전북도는 조례에 '관내 녹색제품 유통·판매 사업자 지원'규정을 명시했지만 지금껏 한 번도 시행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관련 법률과 조례에 따라 녹색제품 구매이행 계획은 회계연도 시작전까지, 전년도 이행실적은 매년 3월말까지 공표해야 하는데도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대해 김완주 지사는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전체 113개 녹색제품군에 대한 구매비율은 낮지 않지만 구매빈도가 높은 33개 제품군을 별도로 집계한 결과 타지역보다 구매실적이 낮았다"며 "앞으로 기관·부서별로 목표를 정해 녹색제품을 체계적으로 구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