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나는 은행이자, 서민 허리 휜다

고금리 가계대출 비중 4.6% …'금융위기 수준'

연 10% 이상의 고금리 가계대출 비중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수익 확보에 열을 올린 은행들 탓에 서민들의 이자 고통만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은행과 은행권에 따르면 올해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신규 취급액 기준) 중 연 10% 이상의 고금리 대출 비중이 4.6%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2.6%보다 2%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같은 수준(4.6%)을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같은 4.6%라도 2008년 10월 당시에는 연 10% 이상~12% 미만 가계대출이 1.9%, 12% 이상이 2.7%를 차지한 것에 비해 1월에는 10% 이상~12% 미만이 1.4%, 12% 이상 가계대출이 3.2%다.

 

연 12% 이상의 대출금리를 부담해야 하는 서민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더 늘었다는 뜻이다. 연 10%를 넘는 고금리 대출은 대부분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로 저소득 서민층이 이용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연 11~14%인 새희망홀씨대출 등 서민층을 위한 정책적 성격의 대출이 늘어난 것을 고금리 대출 비중의 증가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공급된 새희망홀씨대출이 약 1조6000억원에 그쳤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약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전체 가계대출 잔액 453조원의 0.4%에 불과해 대출금리평균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새희망홀씨대출로 인해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올랐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말했다.

 

가계대출 금리의 상승에는 대출금리가 낮은 주택대출이 감소해 전체 대출금리를 끌어올린 측면도 있다. 가장 큰 요인은 신용대출 금리의 전반적인 상승 때문으로 분석된다.

 

2008년 연 7.48%였던 신용대출 금리는 2009년 5.96%, 2010년 6.01%로 낮아졌으나 지난해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올해 1월 7.23%까지 올랐다. 금융위기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