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래 냉이 씀바귀…"영양제가 따로 없네"

봄철 입맛을 돋우고 피로를 푸는데 제격인 봄나물. 한 젓가락 뜨는 순간 겨우내 땅속에서 품은 생기를 입안 가득 전한다.

 

나물류는 채식주의 바람과 맞물리면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채취 뒤에는 고유의 향기와 영양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뿌리에 묻은 흙을 제거하고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신문지로 싼 뒤 비닐이나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다음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소개한 봄나물의 성분과 보관 방법이다.

 

 

 

냉이

 

△ 특징 : 가장 많이 먹는 봄나물의 하나로 단백질 함량이 많고 비티민A·C, 칼슘, 철분이 풍부.

 

△ 섭취방법 : 국, 찌개, 무침(숙채), 나물(숙채) 등

 

△ 채취시기 : 3월 초∼4월 말

 

△ 보관방법 : 냉장, 데쳐서 냉동

 

 

 

 

달래

 

△ 특징 : 톡쏘는 매우 맛이 특징이며, 비타민C를 비롯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고, 칼슘이 특히 많이 함유.

 

△ 섭취방법 : 찌개, 무침(생채), 간장양념 등

 

△ 채취시기 : 3월 초∼4월 말

 

△ 보관방법 : 냉장

 

 

 

 

돌나물

 

△ 특징 : 아삭한 식감이 있어 생채가 제격이며, 비타민C와 인산,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함.

 

△ 섭취방법 : 초무침(생채), 물김치, 샐러드 등

 

△ 채취시기 : 3월 초∼5월 초

 

△ 보관방법 : 냉장

 

 

 

두릅

 

△ 특징 : 맛과 향이 좋으며, 단백질이 많고 지방·당질·섬유질·무기질·인·칼슘·철분과 비타민C가 풍부.

 

△ 섭취방법 : 초고추장 무침(숙채), 튀김, 두릅적(꼬치)

 

△ 채취시기 : 4월 초~5월 말

 

△ 보관방법 : 냉장, 데쳐서 냉동, 소금절임

 

 

 

 

△ 특징 :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다년초로 미네랄·무기질 및 비타민A 풍부하게 함유.

 

△ 섭취방법 : 쑥떡, 된장국 등

 

△ 채취시기 : 3월 초∼3월 말

 

△ 보관방법 : 냉장, 데쳐서 냉동

 

 

 

씀바귀

 

△ 특징 : 쓴맛이 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섬유질이 풍부.

 

△ 섭취방법 : 무침(생채), 나물, 김치

 

△ 채취시기 : 3월 중순∼4월 말

 

△ 보관방법 : 냉장, 냉동

 

 

 

원추리

 

△ 특징 : 이른 봄 올라오는 어린 싹을 나물로 무쳐 먹으며, 비타민이 풍부.

 

△ 섭취방법 : 초고추장 무침(숙채), 나물, 된장국

 

△ 채취시기 : 3월 초∼4월 말

 

△ 보관방법 : 냉장, 데쳐서 건조

 

 

 

참나물

 

△ 특징 : 특유의 향을 가지는 대표적 봄나물로 베타카로틴과 섬유질이 많이 함유.

 

△ 섭취방법 : 쌈, 무침(생채), 나물(숙채)

 

△ 채취시기 : 4월∼5월

 

△ 보관방법 : 냉장

 

 

 

취나물(곰취)

 

△ 특징 : 쌉싸름한 맛과 은은하게 풍기는 상큼한 향이 특징, 베타카로틴·비타민 C·칼륨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

 

△ 섭취방법 : 쌈, 무침(생채), 나물(숙채), 김치, 장아찌

 

△ 채취시기 : 4월 말∼6월 초

 

△ 보관방법 : 냉장, 데쳐서 냉동, 건조(묵나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