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복지정책 방향 재조정해야"

이공 문화포럼 '현장에서 문화복지를 보다'…"정책적으로만 해결하려는 건 과욕" 지적도

▲ 22일 '현장에서 문화복지를 보다'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영 대표, 이광준 대표, 박찬국 교장, 이수영 전 관장.

문화복지 전문인력(문화복지사 혹은 문화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재설정해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을 재수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문화복지 전문인력들 역시 정책적 틀에 갇히기보다 주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만들고 그 안에서 문화복지에 대한 정답을 찾아야 할 것이라는 주문이다.

 

이같은 지적과 주문은 문화포럼 이공(대표 김동영)이 지난 22일 마련한'현장에서 문화복지를 보다' 주제의 포럼에서 나왔다.

 

이날 포럼에서는 문화복지의 영역과 전문가의 역할 문제부터 쟁점이 됐다. 이광준'바람 부는 연구소 대표'는 정부와 전북도가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문화복지 전문인력 양성사업과 문화코디네이터 파견사업과 관련, 문화복지의 개념과 대상이 올바른지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즉 인권의 측면에서 문화권이 강조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더욱 강조해도 무방하지만 방법적 측면에서 문화권의 구현이 문화예술의 향유에만 있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박찬국 밀머리 미술학교 교장 역시 문화복지의 구현이 단순히 문화예술의 향유권 확대로만 볼 수는 없으며, 보편적 문화복지의 구현을 제도 안에서 정책적으로 모두 실현시키겠다는 것 또한 과욕으로 보았다. 제도 안에서 수용할 수 있는 부분과 비제도의 영역에서 지원될 수 있는 부분을 따로 고려하고, 전문인력들도 스스로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고민해 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북도의 생활문화예술동호회 활성화 시책도 도마에 올랐다. 이수영 전 전주삼천문화의집 관장(전라북도생활문화예술동호회지원TF팀)은 문화코디네이터를 파견해 도민들의 문화예술동회 활동을 독려하여 동호회 수를 늘리겠다는 동호회 지원 중심의 정책에서 도민들의 문화적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복지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실제 참여하고 있는 토론 참석자들도 이와 같은 문제 제기에 공감하며 문화복지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이 치밀하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문화바우처사업 확대에 따라 부족해진 사업수행 인력을 보강하겠다는 것에 그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문화복지사를 제도적으로 도입하겠다고 하지만 일선현장에서는 제도의 취지와 내용에 공감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같은 실정에서 정부나 자치단체가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내는 공급자적 입장에서 수혜자들을 바라봐서는 안되며, 문화복지 매개인력이 보다 현실적인 층위에서 지역의 실정에 맞게 고민해 정책을 펼쳐야 하다는 데 토론자들이 공감대를 형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