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회담을 갖고 북한의 로켓 발사 철회를 위해 나서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양국 간 현안이 되고 있는 이어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EEZ(배타적 경제수역) 경계획정 협상을 추진키로 했다.
이 대통령은 26일 청와대에서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후 주석과 이같이 의견을 나눴다고 김태효 청와대 기획관이 전했다.
김 기획관은 "두 정상이 북한의 로켓 발사가 한반도 평화와 6자회담 재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데 공감했다"며 "중국 측은 한국과 소통하면서 한반도 안정에 적극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후 주석과의 정상회담에 앞서 25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연 뒤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의 철회를 강력히 촉구하고, 북한의 어떠한 위협과 도발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처키로 합의한 바 있다.
이 대통령과 후 주석은 또 실무 준비를 통해 한·중 FTA의 공식 협상을 빠른 시일 내에 개시키로 의견을 모았다.
김 기획관은 브리핑을 통해 "한중 FTA는 관보에 게재했고 공청회까지 끝냈다"면서 "늦어도 5월까지 대외관계 장관 회의에서 심의하고 한중 간 통상장관 회담을 열어 공식 협상 개시 문제를 매듭짓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인도주의적 원칙에 따라 양국의 입장을 상호 이해·배려하는 가운데 긴밀한 협의 아래 원만하게 처리키로 결정했으며 EEZ 확정을 위한 장기 협의 과정이 중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조속한 시일 내에 EEZ 경계 획정을 위한 실무급 회담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한 편 두 정상은 올해 여수 엑스포가 열리고 한·중 20주년 상호 방문의 해를 맞이해 양국 국민 간 인적 교류를 확대키로 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양국 오고가면서 교류하고, 서로를 잘 이해하고, 협력해야 될 필요성이 지적되었으며 특히 중국 측에서는 언론 관계도 한·중 간에 개선이 되고 많이 강화되었으면 좋겠다는 제의를 하였다.
이에 이 대통령은 "양국의 언론 환경이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현안이 발생했을 때 거기에 대해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언론에 제공함으로써 한·중 국민들 간에 불필요한 오해나 편견이 없도록 서로 신뢰를 모아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