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군청 홈페이지에 연일 '장계면 명덕리'와 관련한 글이 올라오고 있다. 청정지역 장수를 지키기 위해 (주)더클이라는 업체의 입주를 반대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명덕리의 상황을 파악하고자 최근 장수군을 찾았다. '폐비닐 더클공장 결사반대'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군청사 앞에 내걸려 있는 등 분위기가 심상치않아 보였다. 주민반대추진위원회가 구성돼 있고, 4일 오전에는 군청 앞에서 공장 설립을 반대하는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주)더클이 지난 3월27일 장수군 환경과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서, 업체와 대책위의 갈등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대책위는 "(주)더클이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평지마을에 방대한 양의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을 수거해 소각하는 공장을 설립하려 한다. 이 공장은 소각과정에서 주변에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인체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치는 시설이다"며 호소문 등을 통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책위는 이어 "다른 지역(홍천과 정읍)의 경우 소각기계가 2대이지만 더클공장은 10대의 기계를 설치할 계획으로, 만약 가동된다면 상상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 공장가동에 따른 분진과 다이옥신 등의 강력한 유해물질로 인해 장계면 일대 주민은 물론 장수군 전역에서도 생업을 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주민들이 불안에 떨지않고 맑은 공기를 마시며 쾌적한 청정 장수에서 살 수 있도록 해달라"고 장수군에 호소했다.
이와관련해 업체 측은 근거없는 유언비어 및 허위사실이라고 못박았다. 이 고장 출신인 (주)더클의 김용읍 대표는 "공장은 직접 가열이 아닌 간접 가열에 의한 저온열분해식 유화 설비로, 100% 무산소 밀폐 진공상태에서 폐기물의 자원화가 이뤄진다. 즉 버려지는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재생에너지 공장"이라며 "다이옥신 및 매연이 배출되지 않고, 농작물 및 건강 피해와도 전혀 무관하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이어 "쓰레기매립장도 소각장도 아닌데, 근거없는 유언비어 및 허위사실들이 난무하는 등 제대로 알려고도 하지않고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면서 "다이옥신, 구제역, 환경파괴, 농작물 피해, 각종 질병유입 등이 정말 발생한다면 과감히 사업을 포기하겠다"고 덧붙였다.
주민대책위와 업체 간에 갈등이 깊어지자, 전라북도 갈등조정협회가 중재에 나섰다.
갈등조정협의회 최두현 사무처장은 "상호 오해와 편견이 없도록 대화 및 중재가 꾸준히 진행돼야 하고, 필요하다면 양 측이 추천하는 전문가 토론회 등과 같은 정확한 검증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