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스포츠산업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여 정부는 스포츠산업 선진국 도약을 위한 스포츠 산업에 5년간 5개 과제에 5900억원을 투입한다는 내용의 스포츠산업 중장기 계획(2009~2013)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을 통해 2013년까지 국내 스포츠산업 규모를 현행 22조에서 38조로 늘리고, 스포츠 관련 고용을 현행 12만 명에서 19만 명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2000년~2008년에 걸쳐 우리나라 전 산업에 대한 스포츠산업의 총 공급 규모는 0.75~0.96%로 1% 미만이나 미국, EU, 대만, 일본 등 선진국가 스포츠산업의 총 공급규모가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1.8%에 달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에서 스포츠산업은 아직도 초보단계, 유치산업에 불과 한 현실이다.
스포츠용품업의 경우 2006년 전년대비 29% 성장세에서 2007년 2%로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스포츠 시설업 역시 2006년 전년대비 15% 증가세에서 2007년 -1%로 감소하였지만, 21세기 서비스산업 기반 사회에서도 제조업의 역할이 단순 제조에 그치지 않기 때문에 스포츠산업에서 용품업과 같은 산업의 축소를 두고 볼일만은 아니다.
지금, 우리지역엔 탄소산업이 그 기반을 조성하고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가능 하다는 것이다. 스포츠용품의 대부분은 탄소를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용품 시장만 보더라도 877억 유로에 달하며, 미국이 세계 시장의 약 47.6%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큰 시장이고, 유럽연합은 세계 시장의 40.6%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스포츠산업 생산 규모는 2555억 달러에 달하며(2007년기준), 스포츠용품업, 스포츠시설업을 포함해서 관람 스포츠 소비를 합치면, 자동차 산업의 2배, 영화 산업의 7배 이상에 달 한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스포츠선수는 약 10만명이나 된다. 이중 10분의 1만, 동계 및 하계 전지훈련을 우리도에 유치했다고 가정 해 보자.
이들이 1인당 9만원씩만 쓴다 해도 하루에 9억이나 된다. 게다가, 스포츠관련 학회, 전시회, 각종 스포츠 대회 등을 유치하여 그 경제적 가치로 환산 해 보면 될 것이다. 문제는, 아무런 환경을 갖추지도 않은 상태에서 행정적 절차에 의해 하급부서에 떠넘기기식 숫자 맞추기의 정책은 곤란 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충분히 연구 되어야 하고, 행정은 이를 도와 Buy 전북에 기여해야 될 것이다.
사실, 2009년도 기준 국가의 스포츠산업에 대한 연구개발비는 60억원였으나, 우리도에서는 전혀 관심조차 없는 실정이 아쉽기만 하다.
따라서, 선진국의 스포츠산업의 비중에 비해 국내 스포츠산업의 비중이 절반 수준인 도입단계에 있기 때문에 시장방어 및 수출 증대를 위한 지원 사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므로 스포츠산업의 성장기로의 도약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우리도에서 하루라도 빨리 스포츠산업을 위한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 배치 등 포스트역할을 할 수 있는 기구설치를 통하여 전라북도가 스포츠산업의 전진기지로 발돋움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