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찰이 구축을 앞두고 있는 '통합112신고센터' 운영에 대해 경찰 내부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최근 경기 수원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이 112신고센터를 통합 운영하면서 문제점이 발생했다는 분석 때문이다.
특히 도내 3급지 경찰서 관내에서 강력사건이 발생했을 때 해당 지역 지리를 모르는 경찰관이 신고를 받을 경우 수원 사건과 마찬가지로 신속한 조치가 어렵다는 게 경찰 측의 설명이다.
지난 1일 경기 수원에서 발생한 20대 여성 살인사건은 경기경찰청 112신고센터에서 신고전화를 받은 경찰관이 피해자가 있던 곳의 지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고, 굳이 필요 없는 질문을 하며 시간을 보내 살인으로까지 이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당시 사건 현장의 지리에 익숙한 수원 중부경찰서가 신고전화를 받았더라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는 것.
전북경찰은 올해 말까지 경기경찰청과 같은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10일 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전북경찰은 현재 전주권(완산, 덕진)과 완주권은 지방청 112지령실에서 신고전화를 받으며, 나머지 12개 지역은 관할 경찰서 지령실에서 신고전화를 받아 자체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전북경찰청은 올해 112신고시스템 통합에 착수, 오는 5월 업체선정을 거쳐 12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경찰은 통합112신고센터가 구축되면 권역별로 각 지역의 지리 등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경찰관을 우선 선발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112신고시스템 통합에 대한 경찰 내부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 경찰관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유는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조치를 위해서인데 지역특성을 알고 있는 직원들이 많지 않고, 112신고센터 근무 희망자도 적어 각 지역마다 세밀하게 파악하고 있는 직원을 선정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대로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수원 사건과 유사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112신고 시 정확한 주소는 아니더라도 주변의 건물 등 특징을 알려줘야 사건 장소로 순찰차가 출동할 수 있다"며 "신고자가 다급한 상황에서 일일이 확인하고 설명하기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런 상황에 지리를 모르는 경찰관이 신고를 받을 경우 신속한 조치를 위해 만든 이 시스템은 무용지물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북경찰청 한 관계자는 "수원 사건으로 인해 본청에서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센터에 전문 인력을 배치할 방침이다"며 "시스템이 구축되면 지방청을 주센터로 하고 각 경찰서별 보조센터를 운영해 각종 범죄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