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춘향'은 널마루무용단(단장 장인숙·사진)에게 각별하다. 판소리 다섯 바탕을 무대화 한 첫 공연은 언제나 '춘향'이었다. 영화부터 무용까지 장르 불문하고 '춘향'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주제인 사랑을 주제로 하는 데다 선과 악의 대비가 뚜렷한 구조여서 작품화하기에도 쉽기 때문이다.
1997년 '춤추는 춘향'을 올린 이래 올해로 세번째 무대. 대극장에서 소극장으로 옮기면서 무대는 담백해졌지만, 젊은 무용수로 보강해 신선함을 더했다.
춘향과 몽룡의 이별 예감, 장원 급제해 돌아온 몽룡 등을 다룬 장면 장면은 일사분란한 군무로 완성도를 높였다. 춘향과 몽룡이 사랑에 빠지는 순간, 널마루어린이무용단 10명이 청사초롱을 들고 무대에 올라 반기는 장면 등에도 신경썼다.
그러나 압권은 몽룡과 춘향의 사랑의 듀엣이다. 몽룡이 재회의 기쁨으로 춘향을 안고 도는 장면은 아름답다. 이 절정은 이별을 더욱 애절하게 만드는 잔상이 되어 극적 효과를 부각시킨다.
아쉬운 대목은 녹음된 음악을 듣는다는 것. 작곡가 김선씨가 편곡한 곡을 토대로 전주국악실내악단의 국악관현악과 판소리합창단의 합창이 어우러지면서 눈대목에 방수미·김경호 명창의 도창이 삽입된 곡이다.
춘향은 최선주씨, 몽룡은 김지훈씨가 맡아 이 시대의 춘향을 젊은 감각으로 풀어낸다. 전북도의 상주단체 육성 지원사업으로 선정돼 우진문화공간(이사장 양상희·회장 김경곤)과 널마루무용단이 마련한 '춤으로 풀어내는 판소리 다섯바탕'은 '춘향'을 시작으로 '청의 눈물'(6월),'제비 제비 흥부야'(9월), '타고 남은 적벽'(10월), '수궁별가'(12월) 등을 차례로 올릴 예정이다.
1992년 창단된 널마루무용단은 한국적인 색채와 현대적인 감각이 조화를 이룬 전통과 창작 작품을 레퍼토리로 판소리 다섯 바탕을 한국춤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 널마루 무용단, '춤추는 춘향' = 15일 오후 5시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