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대학 살리기 '팔 걷었다'

발전방안 마련, 의견수렴 거쳐 6월 확정…우수인재 유치 지원·연구역랑 강화 골자

지역대학을 살리기 위해 장학금을 늘리고 취업을 지원하며, 편입생을 제한하고 연구역량을 강화하는 등 학생들과 학교측을 지원하는 방향에서의 발전방안이 마련됐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16일 대덕 테크노벨리에 위치한 한밭대 산학융합 캠퍼스를 방문해 이 같은 내용의 '지역대학 발전방안(시안)을 발표한 가운데 향후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발전방안에 따르면 지역산업 및 지역사회와 공생 발전하기 위해 지역대학 특성화 촉진, 지역의 우수인재 유치·지원 강화, 지역대학 연구역랑 강화 등 3대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지역 산업수요를 반영한 대학 특성화를 위해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규모를 올해 1820억원에서 내년 3500억원으로 2배 이상 늘린다.

 

재정지원 뿐 아니라 대학의 자율적 산학협력 체제 구축도 추진되는 가운데 지역대학에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 대학 인사제도 개편, 산업단지캠퍼스 확대 등이 지원된다.

 

지역의 우수인재를 지역대학 대학원으로 진학토록 하기 위해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Global PhD. Fellowship)'의 지역인재 트랙도 신설한다.

 

특히 국가지원 우수장학금의 비수도권 지원비율을 올해 51% 수준에서 내년에는 70%로 확대하고, 비수도권 학생들에 대한 근로장학금 지원비율도 70% 수준으로 유지된다.

 

편입 등으로 지역인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편입 여석을 산정기준을 변경하는 것은 물론 편입 시기를 줄이고, 편입 정원도 축소키로 했다.

 

뿐만 아니다. 지역대학의 연구역량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지역의 연구거점대학을 집중육성하고, 과학벨트와 지역대학 연계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향후 국립대학 발전 추진위원회, 대학구조개혁위원회 등을 통해 시안에 대한 검토를 거친 후, 오는 6월 '지역대학 발전 방안' 최종안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