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 민주주의, 민주화 운동의 결실인가?

■ 주제 다가서기(주제 선정 배경)

 

5월 18일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일이다. 매년 5월 18일은 광주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지난해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휩쓴 정치혁명 '아랍의 봄'은 지난날 우리나라의 4·19 혁명, 6월 항쟁,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떠올리게 해준다. 독재와 폭정에 맞서 싸우며 진정한 민주화를 열망했던 이들의 정신을 되새기고 잊혀져가는 역사적 사건을 다시 재조명해보는 기회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 관련 단원

 

△ 6학년-도덕-9. 평화로운 삶을 위해

 

△ 6학년-도덕-6. 용기, 내 안의 위대한 힘

 

△ 6학년-2학기-사회- 우리나라의 민주정치

 

△ 5학년-2학기-국어- 의견과 주장

 

△ 5학년-도덕-갈등을 대화로 풀어가는 삶

 

■ 신문 읽기(자료 기사)

 

〈자료 1 : 5·18 트라우마 센터 문연다〉

 

〈출처: 경향신문 : 2012년5월11일〉

 

〈자료 2 : 5·18 기념행사 적극참여하자〉

 

〈출처 : 전남일보 : 2012년 5월 10일〉

 

■ 생각 열기(내용 이해)

 

△ 〈자료 1〉을 읽고, '5·18 트라우마 센터'를 설립한 이유를 찾아 쓰시오.

 

△ 〈자료 1〉을 읽고, '5·18 트라우마 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무엇인지 찾아 쓰시오.

 

△ 〈자료 2〉를 읽고, 올 해 5·18 민주화운동 32주년을 맞아 펼쳐지는 기념행사를 찾아 정리해보시오.

 

△ 〈자료 2〉를 읽고, 올 해 슬로건을 '오월의 바람아, 다시 세상을 깨워라'로 정한 의미를 찾아 쓰시오.

 

△ 〈자료 1〉과 〈자료 2〉의 필자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이 무엇인지 찾아 쓰시오.

 

■ 생각 키우기(내용 심화)

 

△ 우리나라 역사상 민주화운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세계적인 민주화 운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생각 더하기(내용 적용)

 

△ 5·18 광주 민주화 항쟁 때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께 감사의 편지를 써봅시다(원고지 400자 내외)

 

안녕하세요?

 

벌써 32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

 

우리는 민주주의가 꽃피우는 평화로운 세상에서 공부하고 잘 살고 있습니다. 모두 여러분께서 목숨을 걸고 용기있게 싸워주신 덕분입니다. 군인들이 총을 쏘고, 마구잡이로 때리는 상황에서도 끝까지 옳은 것을 지키기 위해 목숨 내놓기를 주저하지 않으셨던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보냅니다. 저희들이 그 은혜에 보답할 일은 여러분이 힘겹게 찾은 민주주의를 지금처럼 잘 지켜나가는 것임을 압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바르게 생각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부디 편안히 쉬십시오.

 

■ 용어 정리

 

△ 독재

 

1인 또는 소수자에게 정치권력이 집중되어 있는 정치형태.

 

[출처] 독재 [獨裁, dictatorship ] | 네이버 백과사전

 

■ 관련 영화

·화려한 휴가(김지훈 감독)

 

·주인공 : 김상경, 안성기, 이요원, 이준기 등

 

·내용 :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광주를 지켜준, 더 나아가 자유를 지켜준 그들을 주인공으로 사람냄새 나는 영화 .

 

■ 학생글

 

초등학생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알아야 하는 이유

 

어린 우리들은 책을 통해서 아니면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알 수 있다. 실제 이야기를 잘 모른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민주주의가 잘 되는 나라에 살고 있었다.

 

하지만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날 때에는 사람들이 자유롭지 않았다.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당하고 전두환 군인이 독재를 하려고 해서 광주에서 광주 시민들이 전두환 군인의 퇴진을 요구하며 일으킨 시위가 바로 5·18 민주화 운동이다.

 

남녀노소 누구 할 것 없이 모두 나와 5·18 운동에 참여하였다. 총살을 당하고 잔인하게 죽였다고 하는데도 다 참여했다고 한다. 우리는 이 내용을 잘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사건을 꼭 알아야만 한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에서는 책을 읽게 하거나 동영상을 한 번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 짓지만 우리는 5·18 민주화운동이 왜 일어났는지, 누구 때문인지, 어떻게 하면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는지 반드시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만약 우리가 또다시 독재를 당하게 된다면 5·18 민주화 운동을 생각하며 시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김승찬(임실초 6학년)학생글

 

초등학생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알아야 하는 이유

 

어린 우리들은 책을 통해서 아니면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알 수 있다. 실제 이야기를 잘 모른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민주주의가 잘 되는 나라에 살고 있었다.

 

하지만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날 때에는 사람들이 자유롭지 않았다.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당하고 전두환 군인이 독재를 하려고 해서 광주에서 광주 시민들이 전두환 군인의 퇴진을 요구하며 일으킨 시위가 바로 5·18 민주화 운동이다.

 

남녀노소 누구 할 것 없이 모두 나와 5·18 운동에 참여하였다. 총살을 당하고 잔인하게 죽였다고 하는데도 다 참여했다고 한다. 우리는 이 내용을 잘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사건을 꼭 알아야만 한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에서는 책을 읽게 하거나 동영상을 한 번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 짓지만 우리는 5·18 민주화운동이 왜 일어났는지, 누구 때문인지, 어떻게 하면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는지 반드시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만약 우리가 또다시 독재를 당하게 된다면 5·18 민주화 운동을 생각하며 시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김승찬(임실초 6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