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에서 18세기 영조의 입맛을 통해 본 '순창 고추장'이라는 주제로 서울대 국문학과 정병설 교수의 발표가 있었다.
정 교수는 "임금은 권력의 정점에 있으면서, 새로운 음식을 누구보다 앞서 접했던 인물로, 임금이 무엇을 먹었는지, 무엇을 좋아했는지는 조선 음식문화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하나의 관건"이라고 피력했다.
그는 또 "승정원일기를 통해 본 영조는 순창 조씨 조종부의 집에서 담근 고추장을 매우 좋아했다"고 주장했다.
이어"아마 식욕이 없던 영조에게 잃어버린 입맛을 찾는데 고추장 만한 것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특히 "18세기 초 어의인 이시필이 쓴 소문사설에 순창고추장 만든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며 "조선에서 순창이 매운 맛의 명성과 함께 18세기 조선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그는"이처럼 18세기 조선은 점차 매운맛에 중독되어갔던 시대로, 새로운 맛의 개척자인 고추장은 조선을 매운맛과 단맛의 세계로 이끌었고, 고추장 맛은 18세기 조선의 문화적 풍요를 보여주는 하나의 식품으로 순창이 그 중심에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