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가 총장 직선제 폐지 여부와 관련된 설명회를 개최한다는 것은 총장 직선제 폐지를 적극 검토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학 구성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폐지하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부는 총장직선제를 폐지하지 않을 경우 구조개혁 중점추진대학으로 지정하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국립대학에서 항복을 받아냈다.
△ 전북대 '나홀로 직선제- 불이익 우려
전국 국립대학은 37개. 이중 32개 대학이 총장 직선제를 포기했고, 부산대와 경북대, 전남대, 목포대 등 4개 대학에서 논의 중이다. 대표적으로 부산대가 오는 20~26일 직선제 폐지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에 들어간다. 사실상 전북대 한 곳만 논의조차 없이, '미아(?)' 상태로 남아있던 셈이다.
이는 교과부가 강도 높은 구조개혁이 뒤따르는 국립대 구조개혁 중점추진대학 평가에서 총장 직선제 폐지 여부를 반영하기 때문. 학생 수 감소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 입장에서 지원책은 그만두고, 구조조정을 한다는 것은 문을 닫으라는 것이어서 국립대 대부분이 별 수 없이 순응하는 것.
실제 교과부는 교육역량강화사업 평가에 총장 직선제 폐지 항목을 신설한 가운데 직선제를 폐지하지 않은 경북대와 부산대, 전남대가 지원 대상에서 탈락됐다. 전북대만 취업률 등에 좋은 성적을 보여 살아남았지만 운은 여기까지라는 게 교육계의 설명. 올해 교육역량강화사업에는 국가예산 1811억원이 지원됐다.
△ 대학 구성원, 학교 살리기에서 타협점 찾을 듯
얼마 전까지만 총장이 직접 교수들에게 서한을 보내 강력한 거부 의사를 밝혔던 부산대는 곧 총장 직선제 폐지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에 들어간다. 교수회를 중심으로 강하게 반대해온 충남대도 찬반투표를 통해, 그것도 80%가 넘는 압도적인 찬성표로 폐지키로 결정했다. 이들 대학들은 정부의 인위적 구조조정으로 인한 행·재정적 불이익이 우려, 스스로 백기를 들었다.
전북대는 지난해 군산대가 구조개혁 중점추진대학으로 선정돼 어려움을 겪는 것은 눈앞에서 봤다. 얼마 전에는 같은 거점대학인 부산대와 경북대, 전남대가 교육역량강화사업에서 탈락하는 것을 목격했다. 우선 당장 대학을 살리자는 현실적인 방안에서 대학 구성원들의 의견이 총장 직선제를 폐지하는 쪽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
전북대 관계자는 "총장 직선제는 대학 구성원들이 오랫동안 지켜온 자존심이나 다름없다"라며 반발하면서도 "하지만 대학의 미래를 걱정하는 입장에서 총장 직선제 폐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학 구성원들이 폭넓게 대화하고 신중하게 결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