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도내 A대학과 B대학에 대한 취업률 부풀리기를 적발한 것으로 드러나 주목된다.
취업률은 정부가 재정 지원을 결정하는 주요 잣대인 부실대학 평가 기준의 하나로 적용된다.
교과부는 얼마전 전국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지난 2010년과 2011년 취업률에 대한 감사에 착수한 가운데 도내 2개 대학에서 일부 허위로 기재한 것을 적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교과부는 전국 주요대학 중 취업률 지표가 급격히 상승한 대학 등을 대상으로 사실 여부를 조사해왔으며, 이번에 실제보다 높게 책정된 대학을 적발한 것.
교과부는 감사 결과, 취업률 부풀리기 정도가 클 경우 해당 연도에 지원 받았던 재정지원사업의 취소 또는 '사업비 환수' 등의 조치까지 검토하고 있다.
나아가 차기년도 정부 재정 지원사업 신청에서 신청자격을 제한하거나 재정지원 제한대학(하위 15%) 선정에도 적극 반영해나갈 계획이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번에 문제점이 적발된 대학은 지난해 시행된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에 따라 학생정원감축이나 모집정지 등 제재 조치를 받게 된다.
교과부는 현재 대학들의 취업 부풀리기에 대한 감사 결과를 취합 중이며, 감사 결과에 대한 공개 또는 제재 여부 등은 이달 말까지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해 도내에서는 취업률 저조 등으로 인해 학자금대출제한에 원광대와 벽성대, 서해대, 전북과학대가, 구조조정 중점 추진대학에 군산대가 선정됐다.
도내 모 대학 관계자는 "사실상 정부가 취업률에 따라 재정지원을 결정하고 있다"라며 "이번 감사결과가 향후 대학 운영에 상당한 반향을 몰고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전북지역 20개 대학 평균 취업률은 56.9%로, 대학 졸업생 2명 중 한 명만이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 취업률 통계는 8월이후 공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