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운봉읍, 인월면, 아영면, 산내면 등 주민 370여명은 25일 버스 8대를 이용해 대전 한국수자원공사와 문화재청을 방문했다. 이날 집회에는 경남 함양군민 100여명도 함께 했다.
한국수자원공사 방문은 지리산댐 건설 백지화를 위한 것이고, 문화재청은 용유담의 명승 지정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댐 건설 예정지로부터 3.2㎞ 거리에 위치한 용유담이 명승으로 지정되면 용유담과 국립공원 일부가 수몰될 수 있어 댐 건설은 사실상 무산되고, 지정이 안되면 정부의 댐 건설계획이 본격 추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리산댐 백지화를 위한 함양·남원 공동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윤지홍·김종관 남원시의원은 "정부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지리산 일대에 사업비 9897억원을 투입해 높이 141m, 길이 869m, 총 저수량 1억 7000만톤 규모의 가칭 '지리산댐' 건설을 추진중에 있다"면서 "농작물 피해, 재산권 침해, 경제적 손실, 생태계 파괴, 문화유산 수몰 등을 초래하는 지리산댐 건설계획은 전면 백지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지리산 공동체로서 조상대대로 함께 살아온 함양·남원 주민들은 지리산댐 건설 및 용유담 명승지정 문제에 대한 두 지역 주민의 뜻과 바람을 제대로 알리고, 우리의 생존권과 지리산 용유담을 지켜내기 위해 대전에서 대규모 주민대회를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남원시의회(의장 조영연)는 지난 15일 '지리산댐 건설계획 반대 결의안'을 채택해, 댐 건설계획에 대한 남원시의 단호한 대응을 주문하고 지리산의 유네스코 세계복합문화유산 등재를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