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전주시에 따르면 보건소는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2개반 6명의 점검팀을 구성해 포괄수가제가 정착할 때까지 시내 41개 의원을 대상으로 점검에 나선다.
점검에서는 포괄수가제 적용 질병균 잔료거부 여부와 의료기관의 진료 불성실 여부를 살펴보고 관련 홍보물도 배포한다. 포괄수가제는 입원환자에 한해 치료과정이 비슷한 환자들을 분류해 일련의 치료행위를 모두 묶어서 하나의 가격을 매기는 의료비 지불방식으로 일종의 입원비 정찰제다.
시행 대상은 안과, 이비인후과, 외과, 산부인과로 백내장수술, 편도수술, 맹장수술, 탈장수술, 치질수술, 제왕절개분만, 자궁수술 등 7개 질병군이다.
포괄수가제는 이 같은 7개 질병군에 대해 환자의 연령, 시술방법, 동반상병, 합병증 정도에 따라 78개 환자로 분류하고 의료기관은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4종류와 야간공휴일 응급상황 및 입원기간에 따라 가격이 정해진다.
정부는 그동안 합리적인 의료이용을 도모하고 비급여 항목을 보험 급여화해 환자의 입원진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인다는 목표로 포괄수가제 도입을 추진해왔으며 환자부담금이 평균 21%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