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방로는 마을길 3.2㎞, 산길 3㎞, 차도 3.1㎞로 구성된다.
시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4월 갈재길을 서울 성곽길, 부여 사비길 등과 함께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10곳으로 선정함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이다.
전체구간에 국비 지원 50%, 지차제 부담 50% 등 모두 2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추진된다.
정읍시 구간은 입암면사무소~천원역 터~입암저수지~군령마을~폐철도길~굴다리~갈재구간 4.8㎞이다.
또 장성군 구간은 갈재~백양사에 이르는 4.5㎞ 구간으로 정읍시와 장성군은 관할 구간에 대한 사업을 각각 추진하게 된다.
정읍시는 국비와 시비 등 1억원을 들여 오는 10월까지 기반정비와 이정표, 종합안내도 및 설명 표지판 설치 등 사업을 완료할 방침이다.
한편 갈재길은 조선시대 10개 대로 중 하나였던 삼남대로(전남 해남~서울 간 410㎞) 중에서 옛길의 흔적이 가장 잘 남아있는 길로 꼽힌다.
삼남대로는 전북과 전남을 서로 오고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나야 했던 곳으로 교통의 요충지이며, 전북과 전남을 연결하는 소통의 길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