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저학력자 대출 차별

고졸자 신용평점, 박사의 1/4 불과…감사원, 학력제외한 평가모델 주문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취급하면서 저지른 '파렴치 행각'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국민은행의 대출계약서 조작에 이어 이번엔 신한은행의 '학력차별 대출금리'가 도마에 올랐다.

 

감사원이 23일 발표한 '금융권역별 감독실태' 공개문을 보면 신한은행은 개인신용대출 금리를 매길 때 대출자의 학력 수준에 비례해 차등을 뒀다.

 

고졸 이하 대출자에 13점을 준 신한은행은 석·박사 학위자에는 54점을 줬다. 고졸자 신용평점은 석·박사의 4분의 1에 불과한 셈이다. 신용평점은 곧바로 대출승인 여부와 대출금리에 영향을 준다.

 

신한은행이 2008~2011년 개인신용대출을 거절한 4만4368명 가운데 1만4138명(31.9%)은 학력이 낮아 돈을 못 빌렸다. 이들이 신청한 대출금은 1241억원이다.

 

신한은행이 이 기간 취급한 15만1648명의 개인신용대출 가운데 7만3796명(48.7%)은 학력이 낮다는 이유로 신용등급이 하락해 이자를 17억원 더 냈다.

 

신한은행은 처음 신용거래를 튼 고객에 한정해 6개월간 학력을 신용평점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학력은 직업이나 급여 등에 이미 영향을 줘 평점에 반영됐는데, 학력을 따로 보는 건 적절치 못하다"며 금감원이 서진원 신한은행장에게 학력을 제외한 신용평가 모델을 다시 만들도록 주문하라고 지적했다.

 

신한은행의 '학력차별 신용평가 모델'은 2008년 4월 금융감독원의 승인을 받았다는 점에서 금감원도 지도·감독의 책임이 있다고 감사원은 문제 삼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개별 은행이 제출한 신용평가 모델에서 부도확률이 적정한지만 따질 뿐, 학력 등 구체적인 평가 항목까지 들여다보진 않는다"고 해명했다.

 

신한은행은 감사원의 지적을 받자 최근 부랴부랴 신용평가 모델을 고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