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자 대출 우대에 2금융권 '긴장'

금감원, 신용 7~8등급 세분화 10%대 금리 / 저축은행 고객 이탈·건전성 지표 악화 우려

금융당국이 은행문턱이 높은 저신용자에게도 은행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어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긴장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등급 7∼8등급 저신용자 450만명을 10단계로 세분화한 뒤 우량등급(1∼3등급)을 선별해 이들이 은행에서 10%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기존 7∼8등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에서 최고 연 28%, 대부업체에서는 연 39%의 고금리를 일률적으로 적용받아 왔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과도한 대출금리를 끌어내리기 위해 제2금융권을 주로 이용하는 저신용자의 신용등급을 더욱 세분화하는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같은 신용등급이라도 상대적으로 신용이 좋은 고객에게는 좀 더 낮은 대출금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금감원은 시스템 개발을 서둘러 사전 테스트를 거친 뒤 오는 10월부터 새로운 신용등급 평가시스템을 본격 운용할 예정이다.

 

그러나 제2금융권은 현재 평균 대출금리가 최고 28%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저신용자를 재분류할 경우 우량등급으로 판정된 기존 고객들이 저금리의 은행권으로의 이탈이 크게 늘어날 것이 불보듯 뻔해 결국 비우량 고객만 남게 되면서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크게 악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은행권 역시 금융당국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저신용자를 상대로 연 10%대 신용대출을 해주면 대출위험 관리가 제대로 안돼 부실채권이 늘어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도내 소재 저축은행 관계자는 "새로운 평가시스템 적용으로 고객 이탈이 염려는 되지만 별다른 대응책이 현재로선 없다"며 "새 시스템의 영향이 어떻게 미칠지 모르는 상황이라 한동안은 추이를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