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독성 해파리에 의한 사망사고가 국내 최초로 발생했지만 범정부적인 대응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아 추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현재 해파리와 관련한 사전 주의보는 국립수산과학원이 관장하는 해파리주의보가 유일하다.
수산과학원은 강독성 해파리인 노무라입깃해파리가 100㎡당 1마리 이상 출현시 해파리주의보를, 3마리 이상 출현시 해파리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보름달물해파리의 경우 100㎡ 당 5마리 이상일 때 주의보, 20마리 이상일 때 경계경보를 발령한다.
그러나 수산과학원의 해파리주의보는 수산업 피해 예방을 위해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해수욕장 피서객들의 안전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해파리 모니터링 장소도 주로 어장 인근 해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해수욕장의 해파리 출몰에 대한 모니터링은 후순위로 밀려 있는 실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