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 58억5000만원, 정읍시 30억원, 고창군 28억2500만원.
이는 서울 장학숙 마련을 위한 도내 3개 자치단체의 투자 규모로, 단순 수치상으로만 비교하면 남원시가 고창군과 정읍시에 비해 2배 가량 높다. 이에 남원시의 건립 방식이 고창 및 정읍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봤다.
도내에서는 전주, 정읍, 남원, 고창 등 4개 자치단체가 서울에 장학숙을 운영하고 있거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정읍과 고창의 사례는 눈여겨볼 만하다.
먼저 33억5000만원으로 서울 성북구 보문동에 부지를 확보한 남원시는 추가로 25억원 상당의 건립비용을 기부금 모금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5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장학숙 건립에는 총 58억5000만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정읍시는 '서울시의 공동학사 모집'에 참여해 6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장학숙을 추진중이다. 서울시가 강서구 부지를 제공하고, 정읍시는 30억원의 건축비를 투입하는 형태다. 건물은 서울시 소유에 해당되고, 정읍시는 30년간 사용권을 얻게 된다. 정읍시 관계자는 "이 방식은 다른 자치단체와 공동 참여를 통해 진행되는 것으로, 올해안에는 서울시와 협약이 체결돼 장학숙 건립이 추진될 예정이다"면서 "30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27일 서울 장학숙을 개원한 고창군은 28억2500만원을 들여 오피스텔 매입 후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고창군 관계자는 "서울 관악구 남현동(사당역 옆)의 6층 오피스텔 건물을 매입한 뒤 시설을 리모델링했다"면서 "현재 60명 정도가 이 곳에서 생활하 고 있다"고 밝혔다.
#실속있는 방안 재검토도 필요
남원시는 서울 장학숙 건립의 재추진을 선택했다. 이는 '시민 공감대 형성을 통한 건립 기부금 확보'라는 과제를 떠안게 됐음을 의미한다.
지금도 지역 내에서는 "남원시의 재정자립도는 전국 74개 시지역 중 최저치로, 재정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한정된 재원 탓에, 소수 학생을 위한 서울 장학숙 건립 보다 우선 순위에 놓아야 할 것은 추락하고 있는 지역 교육을 살리는 일"이라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건립비 마련을 위한 모금운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또다시 막대한 시 예산이 투입된다면, 시민 반발에 직면할 수 있는 대목이다.
남원시가 설득력 있는 논리로 25억원 상당의 목표액을 달성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함께 남원시의 건립 방식이 과연 최선책인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될 수 있다. 남원의 투자규모가 정읍, 고창과 대조적이기 때문이다. 남원시와 춘향장학재단은 33억5000만원으로 서울 부지를 이미 확보했다.
정읍과 고창은 남원시의 부지확보 예산범위 내에서 사업을 추진했거나 진행중이다. 열악한 재정 환경 속에서 투자규모를 줄이면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남원시의 '실속있는 방안'에 대한 재검토가 부각되고 있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