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의하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에 의해'를 '~에 따라'로 순화하고 널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에 의(依)하다'는 '사람이나 사물이 무엇에 근거하거나 말미암다'의 뜻으로, '~에 의해' 외에도 '~에 의한', '~에 의하면', '~에 의하여', '~에 의해서'의 꼴로 쓰인다.
예를 들면 '선거에 의해 선출되다.'라거나 '외신에 의하면 유럽은 지금 사상 최악의 홍수로 큰 혼란에 빠져 있다.' 또는 '민주주의는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정치 이념이다.'와 같이 쓰인다. 위의 문장은 '선거에 따라 선출되다.'라거나 '외신에 따르면 유럽은 지금 사상 최악의 홍수로 큰 혼란에 빠져 있다.' 또는 '민주주의는 국민에 따른 국민의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정치 이념이다.'와 같이 고쳐 쓰는 것이 좋다.
△ ~에 따르다
'~에 따르다'는 '어떤 대상이 다른 대상이나 그 기준 따위에 바탕을 두거나 그러한 입장에 의거하다'의 뜻으로, '~에 따라', '~에 따라서', '~에 따른', '~에 따르면'의 꼴로 쓰인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에 따르다'는 '나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교사가 되었다.'라거나 '이번 싸구려 판정에 따른 회사의 손실이 막대하다.' 또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관측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만 의미를 갖는다.'와 같이 쓰인다.
△ 그대로
'~에 따르다'는 '사람이 명령이나 의견 따위를 지키거나 그대로 실행하다'를 뜻할 때도 쓰인다. 예컨대 '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에 의거해서 행동해야 한다.'는 의미로 '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을 따라야 한다.'거나 '군대에서는 상관의 명령에 의하지 않고 행동하면 항명죄를 짓는 것이다.'는 의미로 '군대에서는 상관의 명령에 따르지 않으면 항명죄를 짓는 것이다.'와 같이 쓰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무조건 유행에 의해 사는 것은 아니다.'와 같은 문장은 '사람들이 무조건 유행에 따라 사는 것은 아니다.'로 고쳐 쓰는 것이 좋다.
△ 이렇게 쓰세요
재배법에 따라 도라지를 키웠다.
개정된 법에 따라 시행했다.
가르침에 따라 움직였다.
전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