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익산 백제 유적에 대한 정비사업을 벌인다.
27일 문화재청은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제408호)과 제석사지(사적 제405호)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활용 등을 위해 종합정비계획을 수립, 익산시와 협의해 연차적으로 정비한다고 밝혔다.
종합정비계획은 내년부터 오는 2017년까지 왕궁리 유적과 제석사지의 발굴조사, 건물지 정비를 비롯해 탐방로 조성, 조경, 편의시설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사업의 중요도와 예산을 고려해 단계별로 세부 사항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왕궁리 유적과 제석사지를 미륵사지, 토성 등 주변의 문화유산은 물론 익산의 대표 축제인 서동 축제와도 연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개발할 계획이다.
문화재청과 익산시는 왕궁리 유적과 제석사지를 백제의 왕궁, 왕실 사찰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조성해 익산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백제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겠다는 방침이다.
왕궁리 유적은 지난 1989년도 발굴조사가 시작됐다. 궁장, 공방, 후원 등 왕궁 유적이 확인돼 백제 말기의 익산천도설을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제석사지는 관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記: 일본의 관세음신앙 영험기록, 교토 청련원 소장)에 백제 무왕 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고 있다. 백제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내불당적 성격을 띤 사찰로, 왕궁리 유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