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백수(白穗)피해란 벼 이삭이 패는 시기에 강풍으로 벼가 마르면서 이삭이 익지 않은 채 하얗게 쭉정이만 남는 현상으로, 지난 2010년 태풍 '곤파스'때 충남 서산과 태안일대에 대규모로 발생하여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었다.
벼 백수피해는 태풍이 지나간 직후에는 제대로 확인되지 않고 통상 1주일여가 지나야 정확한 규모를 파악할 수 있어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높다는게 농민들의 주장이다.
김제지역의 경우 부량·진봉·광활면 등 주로 평야지역에서 벼 백수피해가 심한 상태로, 지난 1일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김제를 방문했을 때 (이건식 김제시장은)벼 백수피해의 심각성을 (서 장관에게)보고한 후 특별 재해지역으로 선포해 줄 것 등을 건의했다.
김제시 관계자는 "벼 백수피해는 2모작 및 간척지 등에서 특히 심하다"면서 "김제지역 전체 벼 재배면적(2만1964ha) 중 35%가 넘는 7800ha에서 백수피해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백수피해를 받은 포장은 서둘러 벼 이삭도열병과 세균성벼알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과 함께 혹명나방 등 살충제를 섞어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야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니 병해충 방제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김제지역은 지난해 약 12만톤의 쌀을 생산, 전국 생산(400여만톤) 대비 1/40를 차지하는 곡창지대로, 농업인들이 주로 쌀농사에 주력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