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유산 경쟁 전북은 '뒷짐'

전발연 "유네스코 등재 노력 부족" 지적

최근 '무형문화유산의 전쟁'이라 불릴 만큼 국가 및 자치단체 간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전통문화의 본고장이라고 자부하는 전북은 이같은 추세에 대처하지 못한 채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발전연구원은 11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전북에 무형문화유산이 많은데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면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를 실시,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표 목록 선정과 유네스코 등재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정부가 유네스코 기준에 맞춰 무형문화유산법(가칭) 제정을 추진하고, 무형문화유산 정책을 보존에서 활용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전국 각 자치단체들이 적극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유네스코 등재 이후 세계적 축제로 발돋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는 강릉단오제가 그 모델이 됐다.

 

그러나 전북은 국립무형유산원 설립과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유치에도 불구, 지역 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 및 정부 정책전환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문화재청이 향후 유네스코 등재를 목표로 발굴 중인 '비지정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서울·전남지역 무형문화유산이 다수 포함된데 반해 전북지역 유산은 극히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따라 연구원은 도내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연구사업을 통해 국가 대표목록 및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전주에 국립무형유산원이 들어서는 만큼 무형문화유산법에 포함돼 있는 '한국무형문화유산진흥원'을 도내에 건립하고, 아태무형유산센터 유치 지역으로서 유네스코 가입국이 참여하는 국제행사 개최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북발전연구원은 이와함께 대한민국 무형문화유산의 수도를 지향, '전북 무형문화유산 활용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