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차기 종법사 누가 될까

익산 중앙총부서 교단 최고 의결기구 '수위단회' 22일 선출

개교 97년을 맞은 원불교가 최고 지도자이자 정신적 지주인 종법사 선출을 앞두고 교계 안팎의 관심을 받고 있다.

 

원불교에 따르면 오는 22일 익산시 신용동에 있는 중앙총부에서 교단의 최고 의결기구인 수위단회(首位團會)를 소집해 새 종법사를 선출한다.

 

연임이 가능한 종법사는 수위단회에서 법위등급이 출가위 이상, 연령 74세 이하를 추천하는 것으로 피선자격이 주어진다.

 

이미 지난 18일 원불교내 최고 의결기구인 남·여 각 9명으로 구성되는 수위단회 선출을 마무리 지으면서 종법사 선출이 임박한 상태다.

 

종법사는 원불교의 3급, 3위 등 6단계의 위계 중 가장 높은 단계인 '대각 여래위'의 바로 아래 단계인 '출가위' 등급의 15명 중에서 수위단회의 추천을 받아 후보자 자격을 얻게 된다.

 

추천을 받은 출가위 등급들 중 수위단회의 비밀투표를 거쳐 3분의 2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종법사로 최종 추천된다. 여기에서 3분의 2이상의 득표를 얻지 못하면, 최종 1위와 2위가 결선 투표를 통해 최종 종법사 후보가 결정된다.

 

현재로선 지난 2006년 11월에 추대된 장응철 현 종법사의 연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수위단위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원불교 관계자는 "원불교의 입법 자격을 갖는 최고의결기구인 수위단회의 구성이 마무리됐고, 이들은 오는 22일 투표를 거쳐 종법사를 추천하게 된다"며 "당선자는 11월 첫째주 일요일에 추대식이나 대사식을 갖고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추대되는 종법사는 연임의 경우 오는 11월 4일 추대식을 갖게 되고, 신임 종법사가 선출되면 같은 날 대사식을 시작으로 6년간 원불교를 이끌게 된다.

 

한편, 올해로 개교 97주년을 맞은 원불교는 1916년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가 깨달음을 얻어 개교한 우리나라 4대 종교 중 하나다.

 

법신불(法身佛)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으며 사은(四恩), 즉 내가 받은 천지, 부모, 동포, 법률의 4가지 은혜를 돌려 갚는 것이 핵심교리이다.

 

현재 국내 14개 교구 500여개 교당과 원광대학교와 원음방송국, 한국 최초의 대안 중고등학교인 영산성지고 등 180여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20개국에 교당과 20개 기관을 두고 활발한 교화활동을 벌이고 있다.